뷰페이지

‘정책 연대’ 이낙연·정세균·이광재…반(反)이재명 공동 전선 파괴력은

‘정책 연대’ 이낙연·정세균·이광재…반(反)이재명 공동 전선 파괴력은

손지은 기자
손지은 기자
입력 2021-06-22 17:57
업데이트 2021-06-22 17: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경선연기 논란으로 전선 선명
첫 공동정책토론회 개최
이광재 “이 자리가 진짜 약”
경선 단일화 시나리오도

이미지 확대
한자리에 모인 이낙연?정세균?이광재
한자리에 모인 이낙연?정세균?이광재 (서울=뉴스1) 오대일 기자 = 더불어민주당 대선주자인 이낙연 전 대표(왼쪽부터), 정세균 전 총리, 이광재 의원이 22일 서울 여의도 서울마리나 클럽하우스 M라운지에서 열린 ‘도심공항, 어떻게 할 것인가? 주거 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 모색’ 주제 공동 토론회에 나란히 참석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1.6.22/뉴스1
더불어민주당의 대선 경선연기 논란을 계기로 이재명 경기지사와 ‘반(反)이재명’ 대선주자 간 전선이 선명해지고 있다. 이낙연 전 대표, 정세균 전 국무총리, 이광재 의원은 22일 첫 공동토론회를 열어 정책연대를 공식화했다. 경선연기와 공통 정책을 고리로 뜻을 모은 이들이 추후 이 지사에게 맞서 단일화 전선을 구축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이 전 대표와 정 전 총리, 이 의원은 이날 서울 여의도에서 ‘도심공항, 어떻게 할 것인가. 주거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 모색’을 주제로 토론회를 열었다. 경선연기 찬반을 논의하는 민주당 의원총회 직전 이들 주자 3인의 토론회와 이 지사가 참석하는 국회 토론회가 같은 시간대에 열려 양측의 세 과시와 함께 의총 압박 대결도 연출됐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이 지사를 정면 겨냥한 발언도 나왔다. 이 의원은 “오늘 이 자리는 가짜 약이 아니고 진짜 약”이라며 “오늘 같은 토론회에 이 전 대표, 정 전 총리가 부르면 가겠다. 함께 정책을 실천해 민주당 집권 시대를 열자”고 했다. 이는 지난 15일 이 지사가 경선연기론에 대해 “가짜 약장수가 가짜 약을 팔던 시대가 끝났다”고 말한 데 대한 반격이다.

정 전 총리는 행사 후 기자들과 만나 “좋은 정책을 만들고자 힘을 합치는 것은 매우 소중한 움직임”이라며 “확대해석할 필요는 없고 당의 다른 분들과도 추진할 부분이 있다면 마다할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3인은 이미 이 지사의 기본소득에 반대하고, 개헌 추진에 찬성하는 등 공통 분모가 곳곳에서 확인됐다. 정책연대를 이어 가다 언제든 힘을 합칠 명분은 준비된 셈이다.
이미지 확대
이재명 지사 지지모임 ‘공명포럼’ 15만 발기인과 정식 출범
이재명 지사 지지모임 ‘공명포럼’ 15만 발기인과 정식 출범 (서울=뉴스1) 이동해 기자 = 22일 여의도 글래드호텔에서 이재명 경기지사 지지자 15만여명이 발기인으로 참여하는 ‘공명포럼’출범식이 열린 가운데 이지사가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2021.6.22/뉴스1
민주당은 예비경선에서 6명의 본선 진출자를 추려 본경선을 치른다. 본경선에서 1위 후보가 과반 득표를 얻지 못하면 1·2위 주자가 결선투표를 치러야 한다. 예비경선 후 단일화 시도와 구도 재편에는 당내 전망이 엇갈린다. 한 중진 의원은 “이낙연·정세균 후보는 당대표에 국무총리, 국회의장까지 지냈고, 이번이 사실상 마지막 정치 도전”이라며 “어느 쪽도 쉽게 완주를 포기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캠프 관계자는 “호남단일화 정도로는 판을 뒤집기 어려울 것”이라며 “반이재명보다는 의미 있는 명분을 찾아야 단일화가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날 이 지사는 경선연기로 시작된 반대 전선 구축 움직임에 “반이재명, 비(非)이재명이라는 표현을 안 듣고 싶다”고 했다. 이어 “국회의원은 다 독립된 헌법기관인데, 신념과 철학, 국민의 여론과 관계없이 한쪽 편만 들겠다고 하는 것은 구태정치”라고 지적했다.

손지은 기자 sson@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