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구글 서비스 익숙해지셨나요? 바로 유료화 들어갑니다

구글 서비스 익숙해지셨나요? 바로 유료화 들어갑니다

한재희 기자
입력 2021-06-21 17:40
업데이트 2021-06-21 17: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잇따라 서비스 유료화 나서는 구글

구글과 오라클이 프로그래밍 언어 ‘자바’의 저작권을 둘러싸고 10년 넘게 소송을 벌이며 반전을 거듭한 끝에 구글이 최종 승리를 이끌어냈다. 사진은 구글의 미국 뉴욕 본사. 로이터 연합뉴스
구글과 오라클이 프로그래밍 언어 ‘자바’의 저작권을 둘러싸고 10년 넘게 소송을 벌이며 반전을 거듭한 끝에 구글이 최종 승리를 이끌어냈다. 사진은 구글의 미국 뉴욕 본사. 로이터 연합뉴스
구글이 비싸게 변했다. 무료로 구글 서비스를 이용하다 여기에 길들여져 ‘다 잡은 고기’가 된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갑자기 돈을 받겠다고 나선 것이다. 굳건한 시장 지배력을 바탕으로 서비스 구독료를 챙겨 광고 부문 수익성 악화를 만회하겠다는 전략이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구글은 최근 서울대와 고려대 등 국내 대학 수십 곳에 ‘교육용 구글 워크스페이스’가 내년 7월부터 유료화된다고 알렸다. 이후부터는 기관당 100TB(테라바이트)까지만 무료로 제공되는 것이다. 워크스페이스는 구글의 지메일이나 캘린더, 구글 클래스룸, 드라이브 등의 주요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도록 구성한 플랫폼이다. 이전에는 무료인 덕에 수업자료를 저장해놓거나 이메일을 구글로 바꿔 사용하는 이들이 많았다. 하지만 유료화가 예고되자 졸업생 포함 7만 4000여명이 총 7000TB를 사용중인 서울대를 비롯해 각 대학마다 대책 마련에 비상이 걸렸다.
순다르 피차이 구글 최고경영자(CEO). 서울신문DB
순다르 피차이 구글 최고경영자(CEO). 서울신문DB
구글이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다 갑자기 돈을 받는 전략을 구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사진 저장 서비스인 ‘구글포토’는 이달부터 용량 15GB 이상 사용자에게 돈을 걷고, 동영상 플랫폼 ‘유튜브’도 예전에는 일정 조건이 필요했지만 이제는 구독자가 1명인 계정 동영상에도 광고를 붙이기 시작했다. 오는 10월부터는 구글의 인앱 결제 시스템 사용을 의무화해 15~30% 결제 수수료를 부과한다. 구글은 2016년에 31.5%에 달했던 글로벌 디지털 광고 점유율이 지난해에는 27.5%까지 줄어 고민이었는데 매달 따박따박 들어오는 구독료를 받아 수익성 개선을 이룰 것으로 보인다.

구글은 특정 서비스의 생태계를 어느 정도 잠식해 소비자들이 이만 한 대체제를 찾기가 쉽지 않을 때 유료화에 나서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아쉬운 쪽은 소비자다. 지난해 9월 인앱 결제 수수료 정책을 발표하면서 퍼니마 코치카 구글플레이 글로벌 게임 및 앱 비지니스 개발총괄은 “반드시 앱 장터로 구글플레이를 사용할 필요는 없다”면서 “한국 소비자라면 원스토어나 삼성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 선 탑재된 갤럭시 스토어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해 빈축을 사기도 했다.
구글코리아.  연합뉴스
구글코리아.
연합뉴스
반면 국내 기업들이 유료화하려면 소비자 눈치를 잔뜩봐왔다. 카카오모빌리티는 그동안 택시 기사들에게 무료로 제공해오다가 지난 3월부터 월 9만 9000원을 지불한 이들에게만 특별한 기능을 제공하는 고급 서비스를 도입했다가 택시 업계로부터 거센 항의를 받았다. SK텔레콤도 지난 4월 네비게이션 서비스인 ‘티맵’을 이용할 때 부과되지 않던 데이터(통신망) 요금을 유료로 바꾸자 소비자단체의 비판에 직면해야 했다.

박진호 동국대 멀티미디어공학과 교수는 “독과점이라 볼 수 있을 정도로 지배력이 생기니 ‘소비자들이 이제 쉽게 떠나지 못할 것’이란 계산에 유료화 전략을 펼친 것”이라며 “지금은 무료지만 가격정책이 언젠가는 바뀔 수 있다는 것을 업체가 사전에 알리도록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재희 기자 jh@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