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김정은 “대화와 대결 모두 준비” 대미 메시지…한반도 정세 물꼬 틔울까

김정은 “대화와 대결 모두 준비” 대미 메시지…한반도 정세 물꼬 틔울까

신융아 기자
신융아 기자
입력 2021-06-18 15:27
업데이트 2021-06-18 21: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美 바이든 대북정책에 北 첫 공식 메시지비난 없어 긍정적…비례적 대응 원칙 유지대내 문제 집중…대화 재개 시간 걸릴 듯성김 19~23일 방한…물밑접촉 가능성 주시
이미지 확대
북한 노동당 전원회의 3일차…주재하는 김정은
북한 노동당 전원회의 3일차…주재하는 김정은 북한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8기 제3차 전원회의 3일차 회의가 지난 17일 이어졌다고 조선중앙통신이 18일 보도했다. 3일차 회의에서는 한반도 정세를 안정적으로 관리할 필요성이 강조됐고, 미국 바이든 행정부의 대북정책 방향 분석과 대미 관계 전략 등도 논의됐다. 회의를 주재한 김정은 총비서가 무언가를 설명하고 있다. 2021.6.18
평양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의 새 대북정책에 ‘대화와 대결’ 모두 열려 있다는 입장을 보이며서 한반도 정세에 변화가 주목된다. 바이든 행정부 출범 후 김 위원장이 처음으로 공식 입장을 밝힌 것인데, 때마침 성 김 미 국무부 대북특별대표의 방한과 함께 북미 간 물밑 접촉이 이뤄질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18일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전날 열린 당 전원회의에서 향후 대미 관계에 대한 전략·전술적 대응과 활동방향을 제시하면서 “우리 국가의 존엄과 자주적인 발전 이익을 수호하고 평화적 환경과 국가의 안전을 믿음직하게 담보하려면 대화에도 대결에도 다 준비돼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시시각각 변화되는 상황에 예민하고 기민하게 반응하고 대응하며 조선반도(한반도) 정세를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데 주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미지 확대
북한 노동당 3일차 전원회의…서명된 서류 든 김정은
북한 노동당 3일차 전원회의…서명된 서류 든 김정은 북한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8기 제3차 전원회의 3일차 회의가 지난 17일 이어졌다고 조선중앙통신이 18일 보도했다. 김정은 총비서가 자신의 서명이 기재된 서류를 들어보이고, 간부들이 박수를 치고 있다. 서류는 이날 회의에서 인민생활 안정을 위해 발령된 김 총비서의 ‘특별명령서’로 추정된다. 2021.6.18
평양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우선 이번 발언에서 가장 눈에 띄는 점은 전체적으로 절제된 어조에 비난의 목소리가 전혀 없었다는 점이다. 김 위원장이 대화와 대결을 모두 언급하며 한반도 정세의 안정적 관리를 강조한 것은 8차 당대회에서 제시한 비례적 대응 원칙인 ‘강대강, 선대선’ 기조를 유지하면서도 대화의 여지가 있음을 분명하게 밝힌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그동안 북미 대화의 조건으로 북한이 줄기차게 요구해 왔던 대북 적대시 정책 철회에 대한 언급도 하지 않는 등 한층 유연해진 모습을 보였다. 정성장 세종연구소 북한연구센터장은 “바이든 행정부가 한미 정상회담에서 북한에 대해 유연한 접근을 보였던 만큼 북한도 북미 대화 재개에 유연한 입장을 보인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미지 확대
북한 노동당 3일차 전원회의…‘일어나서 박수’
북한 노동당 3일차 전원회의…‘일어나서 박수’ 북한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8기 제3차 전원회의 3일차 회의가 지난 17일 이어졌다고 조선중앙통신이 18일 보도했다. 참석자들이 모두 자리에서 김정은 총비서를 향해 박수를 보내고 있다. 김 총비서도 자리에 앉아 박수치고 있다. 2021.6.18
평양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김 위원장은 “특히 대결에는 더욱 빈틈없이 준비돼 있어야 한다”고 덧붙이긴 했으나 이는 강경 노선을 택했다기 보다 원칙적 입장을 강조한 정도로 해석된다.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대결을 언급한 것은 대미 경각심을 유지하기 위한 의도이고, 더 중요한 것은 대화도 준비돼 있어야 한다고 한 점”이라며 “미국의 대화 제의에 무반응으로 일관했던 김정은 위원장이 미국에 공개적으로 메시지를 발신했다는 것 자체가 변화”라고 평가했다.

다만 북한이 대화에 곧바로 응할지는 미지수다. 김 위원장이 직접 식량난을 언급하는 등 경제 문제 해결이 시급한 북한이 불필요한 대외 문제를 만들지 않기 위해 상황 관리 차원의 메시지를 낸 것일 수도 있다. 정대진 아주대 통일연구소 교수는 “직접적인 대미·대남 비난이나 압박은 없었지만 논의는 하고도 보도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면서 “획기적인 대외관계 전환에 대한 시책이 제시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대화 재개에는 조금 더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성 김 대북특별대표
성 김 대북특별대표
이런 가운데 김 대북특별대표가 19∼23일 한국을 방문해 북한과의 대화 재개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한미 외교당국은 김 특별대표 방한을 계기로 21일 열리는 북핵수석대표 협의에서 북한의 의중을 비중 있게 논의할 전망이다. 이를 토대로 김 특별대표가 북한을 대화 테이블로 끌어내기 위한 메시지를 발신할 가능성도 커 보인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 교수는 “북한이 대화에 나오는 시기를 저울질하고 있다는 점을 짐작할 수 있다”면서 “남은 전원회의에서 성김 특별대표 임명에 상응하는 대미·대남분야 조직 개편도 관전 포인트”라고 말했다.

신융아 기자 yashin@seoul.co.kr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