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똑똑 우리말] ‘애끊다’의 ‘애’는 무슨 뜻일까/오명숙 어문부장

[똑똑 우리말] ‘애끊다’의 ‘애’는 무슨 뜻일까/오명숙 어문부장

오명숙 기자
입력 2021-06-16 20:48
업데이트 2021-06-17 02: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갑작스러운 사고 등으로 가족을 잃은 슬픔을 표현할 때 ‘애끊는’이란 말을 쓴다. 초조한 마음을 나타낼 땐 ‘애가 탄다’는 표현을 쓰기도 한다. 이때 쓰인 ‘애’는 무엇을 뜻하는 것일까.

‘애’는 원래 창자를 나타내는 말이었다. ‘애끊다’(몹시 슬퍼서 창자가 끊어질 듯하다)에 그 뜻이 남아 있다. 지금은 초조한 마음속을 이르는 말로 속이 타들어 갈 만큼 매우 답답하고 안타까운 상태를 일러 ‘애가 탄다’고 표현한다.

이와 같이 우리말에는 신체와 관련된 관용적 표현이 많다.

“부아가 치밀었다”처럼 분한 마음을 나타낼 때 쓰이는 ‘부아’는 ‘허파’를 의미한다. ‘부아가 나다’, ‘부아가 끓어오르다’처럼 쓰인다.

“베토벤에 비견할 만한 음악가”에서의 ‘비견’ 역시 신체와 관련이 있다. ‘비견’(比肩)의 ‘견’(肩)은 어깨를 뜻하며 ‘비견’은 ‘대등한 위치에서 견주어지다’란 의미다.

공포감 따위에 맥이 풀리고 마음이 졸아드는 상태를 나타낼 때 쓰는 ‘오금이 저리다’의 ‘오금’은 무릎의 구부러지는 오목한 안쪽 부분을 가리킨다.

“슬하에 한 명의 자녀가 있다”와 같이 쓰이는 ‘슬하’(膝下)는 ‘무릎 아래’를 가리키며 주로 부모의 보호를 받는 테두리 안을 의미한다.

현재 가장 뜨거운 관심을 불러모으는 일을 나타내는 ‘초미의 관심사’에서 ‘초미’(焦眉)는 ‘눈썹에 불이 붙었다’는 뜻이다.
2021-06-17 29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