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US여자오픈 19세 사소, 가장 높은 곳 섰소

US여자오픈 19세 사소, 가장 높은 곳 섰소

홍지민 기자
홍지민 기자
입력 2021-06-07 20:48
업데이트 2021-06-08 02: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연장전 끝에 최연소 우승 ‘박인비와 타이’
한국 공동 7위 그쳐… 3년 연속 우승 불발
도쿄 ‘金 밭’가는 길 동남아 돌풍 경계령

이미지 확대
필리핀의 유카 사소(가운데)가 7일(한국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 올림픽클럽에서 막을 내린 제76회 US여자오픈에서 깜짝 우승을 차지한 뒤 트로피를 들고 갤러리들과 함께 기쁨을 만끽하고 있다. 샌프란시스코 USA 투데이 스포츠 연합뉴스
필리핀의 유카 사소(가운데)가 7일(한국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 올림픽클럽에서 막을 내린 제76회 US여자오픈에서 깜짝 우승을 차지한 뒤 트로피를 들고 갤러리들과 함께 기쁨을 만끽하고 있다.
샌프란시스코 USA 투데이 스포츠 연합뉴스
필리핀의 ‘무서운 신예’ 유카 사소가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 메이저대회 US여자오픈을 제패하는 파란을 일으켰다.

사소는 7일(한국시간)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 올림픽클럽 레이크코스(파71)에서 열린 제76회 US여자오픈(총상금 550만 달러) 4라운드에서 버디 3개와 보기 1개, 더블보기 2개를 묶어 2오버파 73타를 쳤다. 사소는 최종합계 4언더파 280타를 기록, 하타오카 나사(일본·22)와 공동 선두로 정규 72홀을 끝냈으나 연장전에서 이겨 우승 트로피 ‘하튼 S 셈플’에 이름을 새기게 됐다. 우승 상금은 100만 달러(11억 1000만원).

4월 ANA 인스피레이션의 패티 타와타나낏(22·태국)에 이어 올해 LPGA 투어 메이저 타이틀을 동남아시아 신예들이 거푸 따내며 도쿄올림픽 금메달을 노리는 한국의 강력한 경쟁자로 떠올랐다.

만 19세 11개월 17일의 사소는 2008년 이 대회 최연소 우승했던 박인비(33)와 타이 기록을 썼다. 필리핀 남녀를 통틀어 첫 메이저 우승에 2004~2005년 2승을 올린 제니퍼 로살레스에 이어 필리핀 역대 두 번째 LPGA 투어 우승자가 됐다.

선두 렉시 톰프슨(26·미국)에 1타 뒤져 최종전에 돌입한 사소는 경기 초반 2, 3번홀 연속 더블보기로 우승 경쟁에서 멀어지는 듯 했다. 그러나 미국 선수로는 2016년 브리트니 랭 이후 5년 만에 우승을 넘보던 톰프슨이 후반에만 5타를 잃는 등 크게 흔들려 반전이 연출됐다. 조금씩 간격을 좁히던 사소는 16, 17번홀 연속 버디를 낚아 공동 선두로 나섰고, 톰프슨은 17, 18번홀 연속 보기로 끝내 3위로 주저 앉았다. 사소는 2개홀 합산 연장에서 비겼으나 서든데스 첫 홀인 9번홀에서 3m 버디 퍼트를 성공하며 마침표를 찍었다. 사소는 “트로피에 모든 위대한 선수들의 이름이 있는 것을 봤는데 내 이름도 들어간다는 게 믿어지지 않는다”고 말했다.

사소는 한국과 질긴 인연을 맺어가며 국내에도 일찌감치 이름을 알렸다. 장타와 쇼트 게임을 두루 갖췄다는 평가를 받는 그는 2018년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에서 한국의 4연패를 가로막으며 개인전 정상에 올랐고, 단체전까지 거머쥐었다. 이듬해 3월 필리핀 대회에 초청받은 당시 세계 1위 박성현(28)과 접전 끝에 준우승해 깊은 인상을 남겼다. 지난해 일본 투어에 데뷔해 2승을 올린 그는 세계 40위 자격으로 3년 연속 출전한 이번 대회 우승으로 LPGA 투어 회원 자격(5년)을 얻어 큰 물에서 기량을 뽐내게 됐다.

한편, 20명이 출전한 한국의 3년 연속 우승은 불발됐다. 세계 1위 고진영(26)과 2위 박인비가 최종 1오버파 285타 공동 7위로 가장 좋은 성적을 냈다.

홍지민 기자 icarus@seoul.co.kr
2021-06-08 2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