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文, 이선호씨 빈소 조문…“안전한 나라 약속했는데 송구스럽다”

文, 이선호씨 빈소 조문…“안전한 나라 약속했는데 송구스럽다”

강주리 기자
강주리 기자
입력 2021-05-13 18:14
업데이트 2021-05-13 18: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가시설 안에서 일어난 사고인데
사전관리도 사후 조치도 미흡했다”
“산업안전 살피고 더 안전한 나라 만들겠다”
고인 부친 “원인 규명과 책임자 처벌해달라”
이미지 확대
문재인 대통령이 13일 오후 경기도 평택 안중백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된 고 이선호 씨 빈소를 찾아 조문한 뒤 유족을 위로하고 있다. 2021.5.13 청와대 제공
문재인 대통령이 13일 오후 경기도 평택 안중백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된 고 이선호 씨 빈소를 찾아 조문한 뒤 유족을 위로하고 있다. 2021.5.13 청와대 제공
이미지 확대
문재인 대통령이 13일 오후 경기도 평택 안중백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된 고 이선호 씨 빈소를 찾아 조문하고 있다. 2021.5.13 / 청와대 제공
문재인 대통령이 13일 오후 경기도 평택 안중백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된 고 이선호 씨 빈소를 찾아 조문하고 있다. 2021.5.13 / 청와대 제공
문재인 대통령이 13일 지난달 경기도 평택항 부두에서 화물 컨테이너 적재 작업을 하다가 숨진 20대 청년 노동자 고(故) 이선호씨의 빈소를 찾아 조문했다.

문 대통령은 경기 평택시의 한 장례식장에 마련된 이씨의 빈소를 방문한 자리에서 “노동자들이 안전에 대한 걱정 없이 살 수 있는 나라를 만들겠다고 약속드렸는데 송구스럽다”고 밝혔다.

이어 “국가시설 안에서 일어난 사고임에도 사전 안전관리 뿐 아니라 사후 조치에 미흡한 점이 많았다”면서 “이번 사고를 계기로 산업안전을 더 살피고, 안전한 나라를 만들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또 “국민의 마음을 하나로 모아서 조문을 드리는 것”이라고 유족을 위로했다.

문 대통령은 고인의 아버지 손을 잡은 채 안타까운 마음을 전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고인의 부친은 “철저한 원인 규명과 책임자 처벌도 있어야겠지만 제발 이제는 이런 사고를 끝내야 한다”면서 “이번 조문으로 우리 아이가 억울한 마음을 많이 덜었을 것”이라면서 문 대통령에게 감사를 표했다고 박경미 청와대 대변인이 서면브리핑에서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 내부 회의에서도 “이번 사고가 평택항이라는 공공 영역에서 발생한 사고인 만큼, 고용노동부 뿐 아니라 해양수산부 등 관련 부처와 기관이 비상하게 대처해 안전대책을 마련하라”고 지시했다.
이미지 확대
문재인 대통령이 13일 오후 경기도 평택 안중백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된 고 이선호 씨 빈소를 찾아 조문하고 있다. 2021.5.13  청와대 제공
문재인 대통령이 13일 오후 경기도 평택 안중백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된 고 이선호 씨 빈소를 찾아 조문하고 있다. 2021.5.13 청와대 제공
하청업체 소속 이선호씨, 원래 업무 아닌
일에 투입됐다 300㎏ 지지대 붕괴 사망

앞서 평택항에서 하청업체 소속으로 일하던 이씨는 지난달 22일 평택항 개방형 컨테이너 내부 뒷정리를 하던 중 무게 300㎏가량의 지지대가 무너지면서 아래에 깔려 숨졌다.

산업안전보건법상 일정 규모 이상의 컨테이너 작업을 할 때는 안전관리자와 수신호 담당자 등이 있어야 하지만 해당 현장에는 배정돼 있지 않았고, 당시 이씨는 안전 장비도 착용하지 않은 상태였던 것으로 조사됐다.

이씨가 원래 맡았던 업무는 항구 내 동식물 검역이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 때문에 이씨가 본래 업무와 다른 컨테이너 작업에 투입된 경위와 안전 수칙 준수 여부 및 사전 교육 여부 등에 대해 경찰 수사가 진행되고 있다.

‘고 이선호 군 산재사망사고 대책위원회’는 지난 6일 기자회견을 열고 진상 규명과 재발 방지 대책을 요구했다. 사고 조사와 진상 규명이 지연되는 가운데 2주 넘게 장례가 이뤄지지 않았다.
이미지 확대
이선호군
이선호군 평태항에서 화물 컨테이너 작업 도중 사고로 숨진 고 이선호군. 그의 영정사진 앞에 생전 그가 좋아하던 초코 과자가 놓여 있다.
곽소영 수습기자 soy@seoul.co.kr
강주리 기자 jurik@seoul.co.kr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