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태화강 국가정원 죽순을 지켜라’… 야간·새벽 단속 활동

‘태화강 국가정원 죽순을 지켜라’… 야간·새벽 단속 활동

박정훈 기자
박정훈 기자
입력 2021-05-12 12:38
업데이트 2021-05-12 12: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몇년 전까지 가방, 자루 가져와 불법 채취 극성
십리대숲지킴이, 매년 4~6월 야간 4시간 단속활동

이미지 확대
울산 태화강 국가정원 내 십리대숲 죽순.
울산 태화강 국가정원 내 십리대숲 죽순.
“5~6년 전만 해도 등산용 가방이나 자루를 가져와서 몰래 죽순을 캐가는 경우가 많았고, 요즘은 발로 차는 등 호기심에 훼손하는 사례가 대부분입니다. 죽순은 태화강 국가정원의 미래를 이어갈 소중한 자산이라 반드시 보호해야 합니다.”

12일 오후 7시 울산 중구 태화강 국가정원 분수대 광장. ‘십리대숲지킴이’ 봉사회원 16명이 4개 조로 나뉘어 죽순 지킴이 활동에 들어갔다. 어둠이 내리기 시작하면서 지킴이들의 발걸음도 바빠진다.

태화강 국가정원 대숲은 매년 4월부터 6월까지 3개월 동안 죽순 천지를 이룬다. 죽순은 모습을 드러낸 뒤 1주일 만에 어른 키만큼 쑥쑥 자란다. 태화강 국가정원 내 대숲은 십리대숲(면적 10만㎡)과 삼호대숲(면적 12만 5000㎡)으로 구분된다. 왕대, 맹종죽, 오죽, 구갑죽 등 다양한 대나무가 자생하고 있다. 십리대숲에서만 연간 10만~20만개 정도의 죽순이 자라는 것으로 추산된다.

태화강 주변 83만㎡는 2019년 7월에 국가정원으로 지정됐다. 순천만 국가정원에 이어 두 번째다. 이전에는 주로 태화강 강북지역의 이름을 따서 ‘태화들’로 불렸고, 십리대숲도 당시에는 ‘십리대밭’으로 불렸다. 2010년 ‘태화들 생태공원’이 조성된 이후 ‘태화강 대공원’, ‘태화강 지방정원’을 거쳐 지금의 태화강 국가정원으로 성장했다.
이미지 확대
십리대밭 죽순 보호는 2000년대 초반부터 시작됐다. 하지만, 매년 죽순 불법 채취는 끊이지 않았다. 이를 보다 못한 시민들이 ‘십리대숲지킴이’를 만들어 죽순 보호에 나섰다. 십리대숲지킴이는 2007년 출범 이후 현재 300명의 회원을 둔 봉사단체로 성장했다. 회원들은 20대부터 70대까지 다양하다.

최동숙(60·여) 십리대숲지킴이 총무는 “십리대숲 죽순은 맛이 좋아 외지에서도 캐러 오는 사람이 있을 정도였다”며 “등산용 가방이나 자루를 가져와 불법으로 캐가는 사람이 많아지면서, 주민들로 구성된 십리대숲지킴이가 발족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시장에 팔려고 죽순을 캐는 사람들이 많았다”며 “심야 불법 채취가 많아 쫓고 쫓기는 단속으로 잠을 설치는 경우도 잦았다”고 설명했다.

올해도 지난 4월 19일부터 국가정원 대숲지키기 활동이 시작됐다. 2~4명이 한 조를 이뤄 매일 오후 7시부터 4시간 동안 십리대숲 4㎞ 구간을 순찰한다. 순찰은 6월 말까지 이어진다. 이들은 죽순을 채취하거나 훼손하는 것을 단속하고, 방문객들에게 죽순과 대나무 숲의 가치를 설명한다. 요즘은 단속보다 홍보 활동에 치중한다.

오후 8시쯤 산책 나온 시민들이 많아지면서 회원들의 발걸음도 바빠졌다. 몇몇 젊은이들이 산책로 나무 울타리를 넘어 대숲으로 들어가려고 하자, 야광봉으로 제지한다. 김말숙(64·여) 회원은 “죽순을 처음 보는 사람들이 신기해서 발로 차거나 손으로 잡아당기는 경우가 간혹 있다”며 “지킴이 순찰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훼손되는 죽순 양도 달라 잠시도 쉴 틈이 없다”고 말했다.

시민 송모(42·여)씨는 “매일 대숲에서 산책하는 데, 가끔 산책로 울타리를 넘어가는 사람들이 있다”며 “지킴이 분들의 활동으로 죽순 훼손이 적은 것 같다”고 말했다.

새벽에는 울산시 기간제 근로자들이 나선다. 36명의 근로자가 매일 2명씩 조를 이뤄 오전 5시부터 오전 9시까지 대숲 4㎞ 구간을 돌며 죽순을 지킨다.

울산시 관계자는 “태화강 십리대숲은 태화강 국가정원의 초석이자 상징과도 같은 존재”이라며 “누가 지키지 않아도 죽순을 채취하지 않는 성숙한 시민의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글·사진 울산 박정훈 기자 jhp@seoul.co.kr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