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단독] 3000만원 투자했다가 낚였다… 가짜 ‘존 리 리딩방’ 믿지 마세요

[단독] 3000만원 투자했다가 낚였다… 가짜 ‘존 리 리딩방’ 믿지 마세요

손지민 기자
입력 2021-04-18 22:30
업데이트 2021-04-19 02: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유명인 사칭 금융투자 사기 기승

존 리 메리츠 대표·황세운 연구위원 등
유명인 이름 건 SNS로 4~5배 수익 홍보
수천만원 투자액 출금 요구하자 잠적
해외 계정 등으로 경찰 추적도 따돌려
이미지 확대
유명 주식 투자 전문가를 사칭한 인스타그램 계정에 속아 4000여만원을 입금한 피해자 이지연(가명)씨가 사기 게시글을 보여 주고 있다.
유명 주식 투자 전문가를 사칭한 인스타그램 계정에 속아 4000여만원을 입금한 피해자 이지연(가명)씨가 사기 게시글을 보여 주고 있다.
이지연(43·가명)씨는 지난 6일 경제방송에 출연하는 유명 투자 전문가가 ‘손실 제로’, ‘단돈 1만원으로 수익 창출’ 등의 홍보 문구를 내걸고 투자자를 모집하는 인스타그램 계정을 발견했다. 이씨가 투자하고 싶다는 내용의 다이렉트 메시지를 보내자 계정 주인 A씨는 기다렸다는 듯 이씨를 암호화폐 마진거래 사이트에 가입하게 한 후 보안이 뛰어난 텔레그램으로 대화하자고 유인했다.

이씨가 계정 주인의 설명대로 1만원을 투자금으로 보내자 이내 수익금이 5만원으로 불어났다. 지명도가 높은 투자 전문가를 내세운 투자 계정을 철석같이 믿게 된 이씨는 “100만원을 넣으면 300만원 보장하고 200만원을 넣으면 500만원을 보장하겠다”는 말에 속아 투자금을 늘렸다. 그렇게 이씨가 A씨에게 보낸 돈은 일주일도 안 돼 3000여만원에 달했다.

A씨는 이씨의 수익금이 약 1억 2000만원이라고 했지만 이씨가 출금을 요구하자 “수수료를 추가 입금해야 한다”며 말을 돌렸다. 수수료 960만원을 받고도 출금을 차일피일 미루던 A씨는 이씨가 재차 출금을 요청하자 연락을 끊어 버렸다. 그제야 사기임을 깨달은 이씨는 지난 12일 피해를 신고했다.

경제방송에 출연하는 유명 투자 전문가와 암호화폐 전문 언론매체를 사칭한 ‘코인리딩방’ 사기가 발생해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 최근 주식에 이어 암호화폐를 미끼로 한 전문가 사칭 투자 사기가 기승을 부리면서 금융 당국과 수사기관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서울 수서경찰서는 투자 전문가의 신원과 경력을 내세워 암호화폐 투자금을 받은 후 이를 돌려주지 않고 연락을 끊은 암호화폐 마진거래 업체에 대해 수사에 착수했다고 18일 밝혔다.

이 업체는 암호화폐와 전혀 상관이 없는 주식 투자 전문가를 미끼로 사용했을 뿐만 아니라 암호화폐 관련 뉴스만 다루는 전문 매체와 같은 이름을 사용해 투자자를 현혹한 것으로 파악됐다. 해당 매체는 투자 사기 업체와 관련이 없다고 밝혔다. 업체의 사기 행각을 알게 된 투자 전문가와 그가 소속된 경제방송은 홈페이지 공지 게시판 등을 통해 사칭에 주의해 달라고 당부했다. 지난해 주식 투자에 뛰어드는 개미가 크게 늘면서 존 리 메리츠자산운용 대표,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 등 금융권 전문가를 사칭한 리딩방 사기가 증가해 투자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경찰 관계자는 “사칭 계정을 파악하거나 폐쇄하는 데 시간이 걸리고 해외 계정이거나 사이트를 우회한 경우 범인 추적이 어렵다”고 말했다.

사칭 피해를 당한 금융시장 전문가들도 난처한 처지다. 황 연구위원은 “경찰도 처음에는 민사 고소만 가능하고 형사 고소는 어렵다고 했다”며 “카카오톡에 요구해 사칭 계정을 폐쇄하는 데 3주가 걸렸다”고 전했다.

이어 그는 “전문가 사칭 리딩방 사기는 진화된 보이스피싱”이라며 “경찰이 신속히 대응하고, 대중에게 사기 유형을 적극적으로 알려 피해를 막아야 한다”고 말했다.

글 사진 손지민 기자 sjm@seoul.co.kr
2021-04-19 9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