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삼성전자, ‘역대급 배당금’ 13조원 풀었다…개미 1조·외국인 7조

삼성전자, ‘역대급 배당금’ 13조원 풀었다…개미 1조·외국인 7조

한재희 기자
입력 2021-04-16 15:57
업데이트 2021-04-16 15: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3조 1243억원 배당금 지급한 삼성전자

이미지 확대
서울 삼성전자 서초사옥에서 삼성 깃발이 바람에 휘날리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 삼성전자 서초사옥에서 삼성 깃발이 바람에 휘날리고 있다.
연합뉴스
삼성전자가 역대 최대 규모의 배당금인 13조원을 16일 주주들에게 지급했다.

이날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이번 결산 배당금으로 보통주 1주당 354원(우선주 355원)에 특별배당금 주당 1578원을 더해 지급했다. 정규 결산 배당과 특별배당을 합친 배당금 총액은 13조 1243억원에 이른다. 지난해 배당금 2조 4000억원 대비 10조원 이상 증가한 역대 최대 규모다. 삼성전자는 2017년 10월에 향후 3년간 발생하는 ‘잉여현금흐름’(기업의 번 돈 중 세금 비용, 설비투자액을 뺀 현금)의 50%를 주주들에게 환원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삼성전자의 최대 주주인 총수 일가가 받는 배당금은 1조원이 넘는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고 이건희 회장은 삼성전자 보통주 4.18%, 우선주 0.08%를 보유해 배당금 7462억원을 받았다. 해당 금액은 아들인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등 상속인에게 돌아간다. 또한 이 부회장은 보통주 0.7%를 보유해 배당금 1258억원, 이 회장의 부인인 홍라희 전 리움미술관장은 보통주 0.91%에 대한 배당금 1620억원을 받았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18일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법원에서 열린 국정농단 파기환송심 선고공판에 출석하고 있다. 징역 2년 6개월의 실형을 선고받고 법정 구속된 이 부회장은 지난 2017년부터 350여일간 수감됐던 서울구치소로 이송됐다. 2심에서 집행유예로 풀려난 지 약 3년 만이다. 연합뉴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18일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법원에서 열린 국정농단 파기환송심 선고공판에 출석하고 있다. 징역 2년 6개월의 실형을 선고받고 법정 구속된 이 부회장은 지난 2017년부터 350여일간 수감됐던 서울구치소로 이송됐다. 2심에서 집행유예로 풀려난 지 약 3년 만이다. 연합뉴스
이번 배당금은 삼성 총수 일가의 상속세 재원 마련에도 일부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들의 상속세 자진 신고·납부 기한 마감일은 이 회장의 사망 후 6개월인 이달 30일이다. 이 회장의 주식 상속가액만 총 18조 9633억원으로, 상속인들이 내야 할 주식분 상속세는 11조원대에 이른다.

삼성전자 보통주를 보유한 개인 소액 주주는 지난해 말 기준 214만 5317명이다. 보통주 지분율은 6.48%, 우선주 지분율은 17%다. 개인투자자에게 지급되는 배당금 총액은 8000억원가량으로 추산된다. 1인당 평균 35만원 받을 수 있단 전망이 나온다.
이미지 확대
삼성전자는 지난해 영업이익이 35조 9939억원으로 전년보다 29.62% 증가했다고 28일 밝혔다. 연간 영업이익이 35조원을 넘어선 것은 2013년, 2017년, 2018년 이후 네 번째다. 사진은 이날 오전 서울 삼성전자 서초사옥. 연합뉴스
삼성전자는 지난해 영업이익이 35조 9939억원으로 전년보다 29.62% 증가했다고 28일 밝혔다. 연간 영업이익이 35조원을 넘어선 것은 2013년, 2017년, 2018년 이후 네 번째다. 사진은 이날 오전 서울 삼성전자 서초사옥.
연합뉴스
외국인의 삼성전자 보통주 지분율은 55%, 우선주는 79%였다. 이들은 7조 7400억원을 가져갔다.

주요 주주인 국민연금은 지난해 말 기준 지분율 10.7%로 보통주에서 1조 2339억원, 우선주 164억원 등 총 배당금 1조 2503억원을 받았다. 삼성생명보험은 1조 132억원, 블랙록펀드는 5803억원, 삼성물산은 5773억원의 배당금을 수령했다. 이번 배당금은 2분기(4~6월) 실적으로 잡힌다.

한재희 기자 jh@seoul.co.kr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