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아하!] 달래 캔 줄 알았는데 독초…봄나물 제대로 먹으려면?

[아하!] 달래 캔 줄 알았는데 독초…봄나물 제대로 먹으려면?

신진호 기자
신진호 기자
입력 2021-04-15 13:28
업데이트 2021-04-15 13: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날이 따뜻해지면 산과 들은 물론이고 식탁에도 봄기운이 찾아온다.

봄 향기 물씬 나는 나물들이 식탁을 채우는 요즘 등산이나 나들이를 갔다가 눈에 익은 식물에 절로 손이 가기 마련이다.

먹거리 불신이 커진 요즘 자연에서 직접 채취한 나물로 가족이나 지인들에게 안심하고 맛있는 나물 음식을 해주고픈 마음이 앞서기 때문이다.

그러나 산나물과 비슷하게 생긴 독초들이 많아 주의가 요구된다.

미국자리공 뿌리, 더덕·도라지로 먹었다가 봉변
독초 미국자리공과 인삼, 도라지, 더덕.  행정안전부 제공
독초 미국자리공과 인삼, 도라지, 더덕.
행정안전부 제공
행정안전부는 봄철에 독초를 산나물로 잘못 알고 먹었다고 중독사고가 발생하는 사례가 많다며 15일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혼동하기 쉬운 독성 식물 중 미국자리공이 대표적이다.

미국자리공의 뿌리는 도라지나 더덕, 마 뿌리와 닮아서 잘못 알고 먹는 경우가 많다. 잎이 나거나 꽃이 피면 어느 정도 구별이 가능하지만 이른 봄 잎이나 꽃이 나기 전 뿌리만 보고 구별하기 쉽지 않기 때문이다. 특히 미국자리공은 전국 각지에서 골고루 잘 자라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미국자리공은 모든 부위에 독성이 있지만 특히 뿌리의 독성이 강하다. 이를 섭취하면 2~3시간 후부터 구역질과 구토의 증상이 나타난다.

지난해 3월에도 전북 익산에서 2명이 미국자리공 뿌리를 더덕으로 잘못 알고 먹어 병원 치료를 받은 사례가 있다.

미국자리공 뿌리는 인삼, 도라지, 더덕과 같이 놓고 비교하면 분명 차이점은 있지만, 일반인이 그 자체만 놓고 보면 구별이 어렵다.

사진만으로 독초 구별 어려워…증상시 즉각 병원
이처럼 산에서 자라는 식물을 어렴풋한 추측으로 채취해 먹는 것 자체가 위험한 행위다.

최상천 아주대 응급의학과 교수는 “선무당이 사람 잡는다는 말처럼 얼핏 알고 있다는 생각에 야생식물을 잘못 먹으면 심할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다”면서 “잘 모르는 식물을 먹은 뒤 구토나 어지럼증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민간요법보다는 즉시 병원에 가야 한다”고 조언했다.

행안부도 “독성식물을 사진으로 구분하는 것은 더욱 위험하다”면서 “어렴풋이 알고 있는 나물은 먹지도 말고 채취하지도 말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혹시나 산에서 캔 식물을 먹었을 경우 구별을 위해 행안부는 국립수목원의 ‘헷갈리기 쉬운 산나물과 독초’ 구별법을 안내했다.

시중에 나온 나물 사먹는 게 가장 안전
산마늘과 독초 은방울꽃.  국립수목원 제공
산마늘과 독초 은방울꽃.
국립수목원 제공
산마늘은 독초 은방울꽃과 헷갈리기 쉽다. 두 식물 모두 원추형 잎이 땅에 붙어 자란다. 꽃이 피면 어느 정도 구분이 가능하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잎 모양이 상당히 흡사하다.

대신 산마늘은 잎이 부드럽고 끝이 완만하게 둔하다. 이에 비해 은방울꽃은 잎이 뻣뻣하고 끝이 뾰족하다.

산마늘은 부추 냄새가 나는 반면 은방울꽃은 아무 냄새도 나지 않는다.
참당귀와 독초 개구릿대.  국립수목원 제공
참당귀와 독초 개구릿대.
국립수목원 제공
참당귀와 독초 개구릿대는 둘 다 잎 가장자리가 톱니 모양이며, 잎들이 사방으로 뻗어 나온다.

그러나 참당귀는 잎이 완전히 갈라지지 않고 아래가 붙는 반면 개구릿대는 잎이 완전히 갈라져서 서로 떨어진다. 또 개구릿대는 잎맥이 갈라지는 부위가 유독 검붉다.
머위와 독초 털머위.  국립수목원 제공
머위와 독초 털머위.
국립수목원 제공
머위와 독초 털머위는 둘 다 커다란 잎이 특징이지만, 이름과 달리 머위는 잎이 부드럽고 잔털이 있는 반면 털머위는 잎이 두껍고 오히려 잎에 윤채가 있다.
곰취와 독초 동의나물.  국립수목원 제공
곰취와 독초 동의나물.
국립수목원 제공
곰취와 비슷한 독초 동의나물의 경우 이와 비슷하다.

곰취는 잎이 부드럽고 윤채가 없는 데 비해 동의나물은 잎이 두껍고 윤채가 있다. 또 곰취는 잎 가장자리 톱니가 뾰족한 반면 동의나물은 상대적으로 톱니가 둔하다.
우산나물과 독초 삿갓나물.  국립수목원 제공
우산나물과 독초 삿갓나물.
국립수목원 제공
우산나물과 독초 삿갓나물은 모두 별 모양 또는 불가사리처럼 사방으로 뻗어 있어 비슷해 보인다. 우산나물은 잎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잎 끝이 2열로 갈라진다. 이에 비해 삿갓나물은 잎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고 잎 끝이 갈라지지 않는다.
달래와 독초 산자고.  국립수목원 제공
달래와 독초 산자고.
국립수목원 제공
국거리 또는 간장에 넣어 비벼먹곤 하는 달래는 독초 산자고와 비슷해 구별이 어렵다. 달래와 산자고 모두 잎 끝이 붙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달래와 달리 산자고는 뱃머리처럼 잎 끝이 완전히 붙어 잎이 배 모양으로 말린다.

이외에 먹을 수 있는 봄나물 중에서도 원추리순이나 두릅, 다래순, 고사리 등에도 미량의 독 성분이 있으므로 반드시 끓는 물에 데쳐서 독 성분을 충분히 제거한 후 섭취해야 한다.

이렇게 산나물과 헷갈리기 쉬운 독초 구별법이 있지만 가장 안전한 방법은 어설픈 지식에 기대어 산에 난 야생식물을 함부로 채취해 먹지 않는 것이다.

김종한 예방안전정책관은 “봄나물은 시중에 나와 있는 것을 이용하고, 특히 야생에서 채취한 것을 함부로 먹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진호 기자 sayho@seoul.co.kr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