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장인주의 춤추는 세상] 발레블랑에 관한 이유 있는 논쟁

[장인주의 춤추는 세상] 발레블랑에 관한 이유 있는 논쟁

입력 2021-03-02 17:08
업데이트 2021-03-03 02: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장인주 무용평론가
장인주 무용평론가
낭만발레 시절, 하얀색 모슬린 천으로 만든 튀튀를 입은 수십명의 발레리나들이 토슈즈를 신고 무대 위를 누비는 장면에서 탄생한 용어 ‘발레블랑’(하얀 발레). ‘블랑’(하얀 색)이니까 ‘백인’이 추어야 한다는 관행이 여전히 남아 있고 피부색에 관해서만큼은 극히 보수적인 발레계에서 상징과도 같은 ‘발레블랑’을 넘어 인종다양성을 수용하려는 시도가 있어 눈길을 끈다.

2015년 미국 아메리칸발레시어터 창단 75년 만에 미스티 코플랜드가 첫 흑인 여성 수석무용수로 등극했다. 1960년대 미국에서 첫 흑인 발레리나 레이븐 윌킨슨(1932~2018)이 등장했으나, 인종차별의 장벽을 넘지 못하고 짧은 활동에 그쳤던 터라 코플랜드의 쾌거가 큰 화제가 되었다. 흑인은 입장도 불가능했던 보수적인 골프장에서 22세의 타이거 우즈가 마스터스 대회 첫 우승을 했을 때만큼이나 경이와 찬사가 함께 터져 나왔다. 특히 홈리스 싱글맘 가정에서 13세의 늦은 나이에 발레를 시작한 배경까지 알려지면서 그 자리에 도달하기까지 겪어야 했을 어려움과 힘든 노력의 시간에 모두 존경의 마음을 표했다. 영화 ‘빌리 엘리어트’를 보며 사회적 통념과 싸우는 발레리노의 삶을 이해했다면 코플랜드의 자서전 ‘Life in Motion’을 읽으며 흑인 발레리나의 애환을 공감했다. 발레는 더이상 부유한 백인가정 출신 소녀들의 전유물이 아니라는 것도.

같은 해, 프랑스 파리오페라발레단에서도 큰 변화가 있었다. 영화 ‘블랙 스완’의 안무가이자 주인공 내털리 포트먼의 남편으로 유명한 뱅자맹 밀피에가 예술감독으로 부임했는데 그동안 금기시했던 이슈인 ‘인종차별’에 맞선 것이다. ‘블랙 페이스 금지안’을 제시해 발레 ‘라 바야데르’에 나오는 ‘흑인 춤’을 ‘어린이 춤’으로 바꾸었고, 한국인 발레리나 박세은에게 ‘백조의 호수’ 주역을 맡기는 등 개혁을 일으켰다. 밀피에는 비록 1년여 만에 사임했지만 그의 여러 시도가 도화선이 되었고, 인종문제를 둘러싼 침묵에서 벗어나자는 단원들의 목소리에 힘이 실리기 시작했다. 드디어 지난 2월 8일 파리국립오페라극장은 오랜 기다림 끝에 팝 은디아예 역사학자와 콩스탕스 리비에르 인권전문가의 공동연구보고서를 발표하며 온라인 기자회견을 열었다. 보고서는 발레와 오페라의 역사에 담겨 있는 인종차별과 무대 안팎에서 드러난 다양성 결핍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이날 알렉산더 네프 극장 총감독은 발레단·발레학교·오케스트라에서의 ‘인종다양성 개혁’을 선포했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360년 전통을 자랑하는 발레단에서도 이제 제2의 코플랜드 탄생을 기대하게 된 것이다. 가히 ‘발레블랑’의 새로운 도전이라고 할 만하다. 현재 박세은을 포함해 한국인 단원이 3명이나 소속되어 있기에 이러한 변화에 더욱 귀추가 주목된다. 예술은 늘 새로움을 추구해야 한다.

반대로 고전은 고전다워야 한다. 다양한 캐릭터가 등장하는 모던발레의 경우는 다양한 인종이 오히려 유리하다. 문제는 ‘백조의 호수’와 같은 고전발레 작품에 있다. 하얀 칠로 분장하고 타이츠를 신으면 백인과 별 차이가 없는 동양인과는 달리, 강한 근육과 피부색이 진한 흑인이 등장하는 고전발레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백조의 호수’에는 백조와 흑조가 등장한다. 주역 발레리나는 1인 2역으로 상반된 캐릭터를 모두 소화한다. 그러니 흑인이 하얀 튀튀를 입고 백조 역을 추는 모습을 보며 피부색과 상관없이 역할에만 집중하며 감상하긴 힘들다. 하지만 우리가 고전이라고 정의하는 ‘고전’은 익숙함을 전제로 한, 우리의 생각 속 ‘틀’에 불과한 것일지도 모른다. 오늘의 이 낯섦이 언젠가는 익숙함으로 다가올 것이고, 그 또한 고전이라 불릴 날이 올 것이다. ‘하얀 발레’가 옛말이 되는 그날까지 우리는 피부색에 관한 논쟁을 이어 갈 것이다.

2021-03-03 3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