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文 “日과 언제든 대화” ‘방법’ 빠진 화해 손짓

文 “日과 언제든 대화” ‘방법’ 빠진 화해 손짓

임일영 기자
임일영 기자
입력 2021-03-01 17:26
업데이트 2021-03-01 18: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탑골공원에서 첫 3·1운동 기념식

“과거에 발목 잡혀 있을 수는 없으며
미래지향적 발전에 더욱 힘 쏟아야”
강제징용·위안부 등 새 제안은 없어
이미지 확대
3ㆍ1절 기념사 하는 문재인 대통령
3ㆍ1절 기념사 하는 문재인 대통령 문재인 대통령이 1일 오전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에서 열린 제102주년 3ㆍ1절 기념식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2021.3.1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문재인 대통령이 1일 서울 종로 탑골공원에서 열린 제102주년 3·1절 기념식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문 대통령은 일본을 겨냥해 “언제든 일본 정부와 마주 앉아 대화를 나눌 준비가 돼 있다”면서 “역지사지 자세로 머리를 맞대면 과거의 문제도 현명하게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문재인 대통령이 1일 서울 종로 탑골공원에서 열린 제102주년 3·1절 기념식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문 대통령은 일본을 겨냥해 “언제든 일본 정부와 마주 앉아 대화를 나눌 준비가 돼 있다”면서 “역지사지 자세로 머리를 맞대면 과거의 문제도 현명하게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문재인 대통령은 1일 “언제든 일본 정부와 마주 앉아 대화를 나눌 준비가 돼 있다”면서 “역지사지 자세로 머리를 맞대면 과거의 문제도 현명하게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에서 처음 열린 102주년 3·1운동 기념식에서 “과거에 발목 잡혀 있을 수는 없으며, 과거의 문제는 과거의 문제대로 해결해 나가면서 미래지향적인 발전에 더욱 힘을 쏟아야 한다”며 이렇게 말했다.

한일 관계 복원의 돌파구가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과거사와 미래지향적 관계를 분리해야 한다는 ‘투트랙’ 기조를 유지하면서도 취임 후 가장 적극적인 화해의 손짓을 보낸 것이다. 다만 강제징용·위안부 문제 등을 타개할 ‘새 제안’이 없어 일본이 전향적인 자세로 나오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문 대통령은 “과거 불행했던 역사가 있었으며, 가해자는 잊을 수 있어도 피해자는 잊지 못하는 법”이라고 했다. 또 “우리가 넘어야 할 유일한 장애물은, 과거 문제를 미래 문제와 분리하지 못하고 뒤섞음으로써 미래 발전에 지장을 초래한다는 것”이라며 “과거 잘못에서 교훈을 얻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 아니며, 국제사회에서 존중받는 길”이라고 일본의 사죄 필요성을 역설했다.

하지만 문 대통령은 “피해자들의 명예와 존엄 회복을 위해서도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피해자 중심주의’를 재확인하면서도 “‘지혜로운 해결책’을 모색할 것”이라고 여지를 열어 뒀다. 또한 양국 관계를 ‘서로에게 매우 중요한 이웃’으로 규정하고 “수십 년간 일종의 분업구조를 토대로 함께 경쟁력을 높여 왔다”고 했다. 2019년 일본의 수출규제 이후 계속된 ‘극일’ 기조와는 대조적이다. 이어 “한일 양국 협력과 미래발전을 위한 노력도 멈추지 않을 것”이라며 “두 나라 모두에게 도움이 되고 한미일 협력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특히 “도쿄올림픽은 한일, 남북, 북일 그리고 북미 간 대화의 기회가 될 수도 있다”며 일본 정부가 사활을 건 올림픽 성공을 위한 협력을 다짐했다. 도쿄올림픽을 한일은 물론 남북과 북미, 북일 관계 복원의 모멘텀으로 삼자는 제안으로 읽힌다.

아울러 북한의 우방인 중국·러시아가 함께하는 동북아 방역·보건협력체 참여가 한반도 평화의 물꼬를 트는 힘이 될 것이라며 전쟁불용, 상호안전보장, 공동번영 등 남북관계 발전 3대 원칙을 강조했다. 또 “코로나와의 기나긴 싸움도 끝이 보이고 있다”며 “11월까지 집단 면역을 이룰 것”이라고 밝혔다.

임일영 기자 argus@seoul.co.kr

2021-03-02 1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