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올림픽 메달 획득과 전국체전이 중요” 신임 전찬민 봅슬레이스켈레톤 회장

“올림픽 메달 획득과 전국체전이 중요” 신임 전찬민 봅슬레이스켈레톤 회장

이기철 기자
이기철 기자
입력 2021-03-01 11:58
업데이트 2021-03-07 10: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찬민 대한봅슬레이스켈레톤경기연맹 회장
전찬민 대한봅슬레이스켈레톤경기연맹 회장
“올림픽 금메달은 물론이고 우리는 전국체전에 정식종목으로 채택되는 것이 시급하다. 그러자면 선수 확충과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회장의 역할이다.”

전찬민(55) 대한봅슬레이스켈레톤경기연맹(KBSF) 회장은 1일 윤성빈의 평창동계올림픽 금메달 획득 이후 불모지였던 종목의 사정이 나아졌는지 묻자 이렇게 답했다. 그는 지난해 12월 단독으로 출마해 무투표로 당선돼 최근 대한체육회 인준을 받았다.

신임 전 회장은 “스켈레톤에서 윤성빈 선수라는 걸출한 스타가 나와서 국민의 관심과 사랑을 받았지만, 아직도 부족하다”며 “봅슬레이와 스켈레톤은 전국 동계체전에서도 시범 종목일 뿐”이라고 말했다. 팀이라야 고교 및 대학 각 2개와 실업팀은 강원도청이 유일하다. 전국체전에서 정식종목이 되려면 상당한 선수층이 필요하다. 현재는 지방 조직이 서울, 경기 등 5곳뿐이다. 7개 이상은 돼야 시도 대항전인 전국체전에서 정식종목이 될 수 있다. 전 회장은 “그렇다고 대회마다 강원도만 우승할 수는 없다. 강원도와 대적할 실업팀도 생겨야 한다. 이런 것은 회장인 내가 할 일”이라며 책임을 떠맡았다.

봅슬레이와 스켈레톤은 인기 프로 스포츠와 달리, 존립 기반인 선수 확보를 고민하는 불모지다. 팀이 많아지려면 선수가 늘어야 한다. 그러자면 국내 대회가 많아야 한다. 학생 선수들이 출전할 대회가 있어야 기량이 늘고, 상급학교로 진학할 수 있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두 종목의 국내 선수는 각각 20명남짓 활동한다. 국내 선수들은 올림픽을 치른 슬라이딩센터가 강원도 평창에 있지만 100m 정도의 짧은 거리에서 스타트만 겨루는 실정이다. 길이 1376.38m인 코스를 완주할 선수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전 회장은 “오는 9일부터 열리는 ‘코리아컵’ 대회가 올해 처음으로 국제봅슬레이스켈레톤연맹(IBSF)의 승인을 받았다”며 코리아컵이 미니 대회이지만 국제화의 첫걸음을 내디딘 것으로 기대한다. 전 회장은 “내년 베이징 동계 올림픽을 계기로 우리나라를 비롯해 일본, 중국을 연결하는 아시안컵 대회 창설에 뜻을 모으고 있다. 대회가 생기면 선수층 확대에 숨통이 트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정식 국제 대회는 북미와 유럽에서 열릴 뿐이다.

전 회장은 그러면서도 일 년도 남지 않은 베이징 동계 올림픽과 관련해 선수들에게 메달 획득에 과도한 관심을 기울이지 마라고 당부했다. 그는 “평창의 금메달은 선수 및 지도자의 피땀어린 노력에 정부 및 후원사의 전폭적인 지원이 더해져 만들어낸 가장 완벽한 결과였다”고 강조했다. 이어 “홈트랙 이점이 강한 우리 종목 특성상 베이징 올림픽은 힘든 무대가 될 수도 있다”며 “힘든 상황속에서도 선수들이 최선을 다하고 있고, 베이징에서도 최선의 결과를 보여주려 한다”는 분위기를 전했다.

경기 단체장으로서 가장 기억나는 일을 묻자 전 회장은 “2018년 3월 10일 평창동계올림픽 해단식 행사의 밤에 스폰서 기업들이 준 상금을 메달리스트 선수들이 ‘모두 똑같이 나누자. 올림픽에 출전했거나 못했거나, 메달을 땄거나 못 땄거나 그들이 있었기에 우리가 있었다.‘며 감사를 표하더라. 정말 뿌듯하고, 코끝이 시큰거릴 정도로 감동적이었다. 선수 부모들, 스폰서 기업 관계자들 모두 눈물을 훔쳤다. 우리가 하나라는 것이 이런 것이구나 하는 것을 느꼈다.”

살균 방역 전문 기업인 팜클 회장인 그는 2006년 봅슬레이스켈레톤 이사로 스포츠에 발을 담갔다. 2010년 평창동계올림픽이 결정되면서 활동을 본격화하다가 “선수들과 정이 들어” 2016년부터 4년간 연맹 부회장을 거쳐 지난해 12월 회장으로 선출됐다.

글·사진 이기철 선임기자 chuli@seoul.co.kr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