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근대광고 엿보기] 대중잡지 ‘별건곤’ 창간호 광고/손성진 논설고문

[근대광고 엿보기] 대중잡지 ‘별건곤’ 창간호 광고/손성진 논설고문

손성진 기자
입력 2021-02-28 20:16
업데이트 2021-03-01 01: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1926년 10월 21일자 매일신보에 실린 별건곤 창간호 광고.
1926년 10월 21일자 매일신보에 실린 별건곤 창간호 광고.
1920년에 창간된 ‘개벽’은 항일 논조 때문에 일제에 의해 40회 이상 압수를 당하고 1회 정간을 당하는 등 탄압을 받은 끝에 1926년 강제로 폐간당한 시사종합지였다. 개벽 폐간 몇 달 후 개벽의 명맥을 이어 ‘별건곤’이 창간됐다. 별건곤은 1929년 발행된 ‘삼천리’와 쌍벽을 이룬 일제강점기의 대표적인 대중잡지였다. 별건곤은 ‘이 세상 밖의 다른 세상’이란 뜻으로 ‘별세계’와 같은 의미다. 별건곤의 발행인 이을은 개벽의 광고 책임자였고 1년 후 차상찬으로 바뀌었다.

“웃음 없는 조선에 웃음의 꽃이 벌어지고 활기 없는 강산에 활기가 넘치리니 지체 말고 하루바삐 주문하여 읽어 보라.” 광고 문구처럼 개벽과 달리 별건곤은 대중의 ‘취미 증진’을 목적으로 한 대중잡지였다. 민족 계몽보다는 문예, 흥미, 오락, 여가에 관한 가벼운 읽을거리를 실었다. 편집 후기인 ‘여언’(餘言)에 “아픈 생활에서 때때로는 웃어도 보아야겠다. 웃어야 별수는 없겠지마는 그렇다고 울고만 있을 것도 아니다”라고 쓴 데서도 편집 방향을 읽을 수 있다. 시사 문제는 마음대로 다룰 수 없어 대중지로 전향할 수밖에 없었던 시대 상황은 연예 대중지가 번성한 1960, 1970년대와 비슷하다. 1926년 11월호 창간호에는 소설, 시, 수필, 풍자, 논설, 번역, 방문기, 전기(傳記), 상식, 경험담, 탐기(르포), 애화(哀話), 실화, 야담, 수기, 괴담, 만담(코미디) 등 거의 모든 장르의 글들이 실렸다. 창간호 표지 그림은 성벽 밑에서 말을 탄 조선인을 그린 동양화풍의 채색화다.

특히 1927년 2월부터 2년 동안 실은 서울의 대낮과 한밤중 세태를 탐사한 ‘대경성(大京城) 백주 암행기’와 ‘대경성 암야 탐사기’가 독자들의 흥미를 돋우었다. 모던보이와 모던걸, 여학생 기생, 마약중독자, 인신매매범 등 대도시 경성의 낮과 밤을 휘젓던 인물들의 모습을 낱낱이 파헤쳤다. 음습한 뒷골목이나 재판정과 경찰서, 직업소개소, 토막민 생활 등 식민지하 서울의 모습을 생생하게 묘사한 탐방기사였다. 200쪽가량에 50전에 판매되던 별건곤은 경쟁지들이 나오면서 1932년부터는 60쪽 정도 분량에 값도 5전으로 인하했다가 1934년 8월에 종간됐다. 5전으로 값을 내린 뒤 더 자극적인 기사를 실었고 독자층도 일반 대중으로 확산된 것으로 보인다. 발행 3일 만에 절판된다고 해서 ‘삼일 잡지’, ‘절판 잡지’라는 별칭을 얻을 정도로 별건곤은 잘 팔렸다. 독자는 대략 1만~2만을 헤아렸으니 당시로서는 대단한 숫자였다. 별건곤은 온 마을 사람들이 돌려볼 정도로 인기를 끈 잡지였으므로 실제 독자나 영향력은 그보다 훨씬 많고 컸다고 평가할 수 있다.

손성진 논설고문 sonsj@seoul.co.kr

2021-03-01 30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