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태극마크 못 달아도 찐 한국인

태극마크 못 달아도 찐 한국인

이기철 기자
이기철 기자
입력 2021-02-28 22:22
업데이트 2021-03-01 01: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경계를 넘어] <3> 대한민국 대표 꿈꾸는 귀화 배구선수 ‘진지위’

이미지 확대
진지위
진지위
본명이 진알렉스지위(陳Alex志威)였던 그는 2019년 12월 24일 ‘진지위’라는 이름으로 한국 국민이 됐다. 애국가도 부르고 역사와 문화에 대한 질문에 거침없이 답해 한국인이 되던 날 너무 기쁘고 좋았다. 그토록 원하던 한국인이 된 그는 이제 국가대표의 꿈을 꾼다.

●前 홍콩 국가대표, 리그 수준 높은 한국으로

1993년 4월 캐나다 밴쿠버에서 태어난 진지위(28·대한항공)는 홍콩 출신인 부모님을 따라 캐나다와 홍콩 이중 국적을 보유했다. 13살부터 배구를 시작한 진지위는 어릴 적부터 남다른 실력을 보였다. 2010년 중국 광저우 아시안게임, 2013년 하계유니버시아드, 2014년 인천 아시안게임에서 홍콩 국가대표로 뛸 정도였다.

195㎝, 93㎏의 건장한 체격을 가진 그는 배구를 위해 캐나다로 갈까 고민했다. 그러다 홍콩에서 가깝고 리그 수준도 높은 한국행을 택했다. 2014년 외국인 전형으로 경희대에 입학한 그는 대학에서도 변함 없는 실력을 뽐냈다.

대학 시절 존재감을 드러낸 그는 국가대표가 돼서 더 큰 무대에 서고 싶었다. 2018년 경희대와 홍콩배구협회 등의 추천을 받아 ‘체육 분야 우수인재 특별귀화’를 신청했다. 국적 변경과 관련해 가족의 반대는 없었다. 부모님 모두 돌아가셨고 홍콩에 사는 유일한 피붙이 여동생은 오히려 귀화를 권유했다. 그렇지만 정작 대한민국배구협회의 뜻하지 않은 반대로 귀화에 실패했다. 이 때문에 한 시즌을 통째로 쉬었다. 결국 다시 도전해 특별귀화에 성공했다.

●돌아가신 부모님이 남겨준 이름

진지위에겐 이제 한국이 고향 같다. 캐나다는 물론 부모님을 따라 오랫동안 거주한 홍콩보다 한국에 대한 기억이 더 생생하다. 한국에 7~8년 살면서 동료와 좋은 곳을 많이 돌아다니며 맛있는 것도 많이 먹었기 때문이다.

진지위는 “홍콩에는 프로배구팀이 없거든요. 운동할 여건이 안되니깐 홍콩의 배구팬도 저의 귀화를 서운하게 생각하지 않습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귀화하면서 부모님이 남겨준 이름에서 한국식 발음으로 ‘진지위’만 가져왔다. 그리고 그는 2019~20시즌 1라운드 6순위로 대한항공에 입단했다. 프로배구 V리그 남자부 출범 이후 드래프트에 참가한 최초의 신인 귀화 선수가 됐다.

●부상 시즌 아웃… 국가대표 포기 안 해

올 시즌 대한항공의 주전 센터로 성장한 그는 속공 8위, 블로킹 9위 등에 올랐다. 선두인 대한항공으로서는 진지위의 활약이 알토란 같았다. 좋은 일도 잠시, 지난 19일 그는 블로킹 훈련 중 착지하다 왼쪽 발목이 꺾이는 부상을 당했다. 아킬레스건 파열로 이번 시즌은 통으로 날리게 된 것. 지난 22일 수술을 받고 최소 6개월의 재활기간이 필요하다. 그래도 포기하지 않는다. 진지위는 28일 서울신문과 통화에서 “포기하지 않습니다. 재활 치료 잘 받아서 다시 코트에 나서겠습니다”라면서 “가슴에 태극 마크를 한번 달아보고 싶습니다. 국가대표가 되면 완벽한 한국인이 되는 거잖아요”라고 말했다.

“한국말과 문화를 잘 알고, 기량이 알려진 선수에 대해서는 귀화하지 않아도 프로 무대에서 뛸 수 있게 허용하면 좋겠습니다.” 국가의 경계를 넘은 진지위가 한국 배구에 가한 일침이다.

이기철 선임기자 chuli@seoul.co.kr

▲프로배구 대한항공 센터 ▲1993년 4월 캐나다 밴쿠버 출생 ▲신장 195㎝ 몸무게 93㎏ ▲2019~20시즌 대한항공 1라운드 6순위 지명 ▲2010 광저우 아시안게임 홍콩 국가대표 ▲2014 인천 아시안게임 홍콩 국가대표
2021-03-01 25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