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텅 빈 껍데기… 욕망의 허깨비

텅 빈 껍데기… 욕망의 허깨비

이순녀 기자
이순녀 기자
입력 2021-02-10 16:24
업데이트 2021-02-11 02: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안창홍 작가 ‘유령 패션’展의 메시지

몸 빠져나가 옷만 춤추는 듯한 이미지
“옷, 계급 상징… 우리 존재 가치 묻는 것”
68세에 스마트폰만으로 디지털 펜화
“나이 훨씬 많은 호크니도 태블릿 써요”
이미지 확대
인터넷에서 찾은 패션 사진을 바탕으로 스마트폰의 그림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해 완성한 안창홍 작가의 디지털 펜화 ‘유령 패션’ 작품들. 모델보다 옷이 더 돋보여야 하는 패션 산업의 속성을 꼬집는 동시에 자본주의 욕망의 허상을 은유한다. 호리아트스페이스 제공
인터넷에서 찾은 패션 사진을 바탕으로 스마트폰의 그림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해 완성한 안창홍 작가의 디지털 펜화 ‘유령 패션’ 작품들. 모델보다 옷이 더 돋보여야 하는 패션 산업의 속성을 꼬집는 동시에 자본주의 욕망의 허상을 은유한다.
호리아트스페이스 제공
회화, 사진 등 평면 작업에서 부조, 채색 조각 같은 입체 작품까지 안창홍 작가는 왕성한 호기심과 식지 않는 창작열로 쉼 없이 영역을 넓혀 왔다. 어떤 형태의 작품이든 강렬한 이미지와 사회성 짙은 메시지는 그의 트레이드마크다. 그가 이번엔 디지털 펜화를 선보인다. 지난 2년간 완성한 수백 점의 디지털 펜화 중 50점을 골라 오는 15일부터 3월 13일까지 서울 강남구 호리아트스페이스와 아이프라운지에서 개인전 ‘유령 패션’을 연다.

지난 8일 만난 안 작가는 옅은 보라색으로 머리칼을 물들인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그의 나이 올해 68세. “원래 백발인데 전시에 맞춰 염색했다”며 웃었다. ‘유령 패션’이란 제목처럼 전시 작품은 감각적인 패션 사진에서 모델이 사라지고 화려한 옷과 신발만 남은 이미지들이다. 작업 도구는 스마트폰 딱 하나. 인터넷에서 작품의 밑바탕이 될 패션 사진 자료를 수집한 뒤 스마트폰의 그림 애플리케이션(앱)으로 형상을 지우고 덧붙이는 과정을 반복해 디지털 펜화를 완성한다.
이미지 확대
인터넷에서 찾은 패션 사진을 바탕으로 스마트폰의 그림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해 완성한 안창홍 작가의 디지털 펜화 ‘유령 패션’ 작품들. 모델보다 옷이 더 돋보여야 하는 패션 산업의 속성을 꼬집는 동시에 자본주의 욕망의 허상을 은유한다. 호리아트스페이스 제공
인터넷에서 찾은 패션 사진을 바탕으로 스마트폰의 그림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해 완성한 안창홍 작가의 디지털 펜화 ‘유령 패션’ 작품들. 모델보다 옷이 더 돋보여야 하는 패션 산업의 속성을 꼬집는 동시에 자본주의 욕망의 허상을 은유한다.
호리아트스페이스 제공
그는 “컴퓨터 수준의 스마트폰으로 통화나 문자, 영상만 보기엔 아까워서 이리저리 조물락거리다 우연히 그림 앱을 찾아내서 시작하게 됐다”며 “나보다 훨씬 나이 많은 데이비드 호크니가 태블릿으로 그림을 그리는 것도 자극이 되긴 했다”고 말했다. 재작년 경기도립미술관과 아라리오갤러리에서 연달아 개인전을 준비하면서 지친 몸과 마음을 가다듬는 데도 도움이 됐다. “양평 작업실 앞 뚝방길을 산책할 때도 스마트폰만 있으면 쓱쓱 그릴 수 있고, 자다가 일어나서도 스케치할 수 있어 디지털 펜화 작업이 만족스럽다”고 했다.

패션을 주제로 삼은 이유에 대해 그는 “패션은 자기를 표현하는 방법이면서 자본주의와 계급의 상징이다. 풍요의 시대 화려한 거리의 의상들에서 허깨비 같은 환상을 본다”며 “몸이 빠져나가 옷만 춤을 추는 듯한 이미지를 통해 우리가 살아가는 의미, 존재의 가치에 대한 화두를 던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유령 패션’ 작업이 처음은 아니다. 1979년 유화와 콜라주로 작업한 ‘인간 이후’에 똑같은 이미지가 등장한다. 작가는 “그때는 소극적으로 그렸고, 40년이 흐른 지금은 전면에 부각했다는 점이 다를 뿐 도시 문명에 대한 비판 의식은 지금이나 다르지 않다”고 덧붙였다.
이미지 확대
안창홍 작가. 호리아트스페이스 제공
안창홍 작가.
호리아트스페이스 제공
유명 브랜드의 패션 사진을 허락 없이 사용하는 것에 대한 법적 문제는 없을까. 그는 “변호사와 저작권 상담을 했는데 사진을 차용해 완전히 다른 조형어법을 구현한 만큼 현재로선 문제가 안 될 것으로 판단했다”면서 “하지만 저작권 문제가 워낙 복잡해 앞으로 상황을 신중하게 지켜보겠다”고 했다. 전시 작품은 스마트폰으로 완성한 이미지를 디지털로 프린트한 에디션과 영상 원본을 담은 디지털 액자, 두 가지 형태다. 디지털 액자는 수십점의 완성작을 5초 간격으로 감상할 수 있다.

1976년 첫 개인전으로 화단에 데뷔한 안 작가는 1980년대 ‘현실과 발언’ 동인에 참여하는 등 1세대 민중미술가로 활동했다. ‘가족사진’ 연작, ‘베드 카우치’ 연작 등으로 주목받았고, 이중섭미술상(2013), 이인성 미술상(2009) 등을 수상했다.

이순녀 선임기자 coral@seoul.co.kr

2021-02-11 24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