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차기 대권 지지율 이재명 27% 선두…윤석열 한 자릿수 추락

차기 대권 지지율 이재명 27% 선두…윤석열 한 자릿수 추락

강주리 기자
강주리 기자
입력 2021-02-04 15:38
업데이트 2021-02-04 15: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 합동 여론조사 결과

이재명 1강 체제… 이낙연 14%, 윤석열 9%
서울·부울경, 모두 민주당 앞섰다
文 지지율 46%…2주 전보다 2%p 상승
이재명 경기도지사,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 윤석열 검찰총장. 서울신문
이재명 경기도지사,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 윤석열 검찰총장. 서울신문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차기 대권 적합도에서 27%를 차지하며 1강 체제를 유지한 반면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이 물러난 이후 윤석열 검찰총장 지지은 한 자릿수로 떨어졌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4일 나왔다.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지난 1∼3일 전국 18세 이상 1007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차기 대통령감으로 누가 가장 적합한가’라는 질문에 전체 응답자의 27%가 이 지사를 꼽아 가장 많았다.

더불어민주당 이낙연 대표는 14%, 윤 총장은 9%였다.

2주 전 같은 조사와 비교하면 이 지사가 동률이고 이 대표는 1% 포인트 상승, 윤 총장은 1% 포인트 하락해 비슷한 흐름을 유지했다.

다만 이 대표는 상승 반전했고 윤 총장은 하락세를 이어갔다. 이 대표는 정세균 국무총리와 이낙연 대표와 대립 구도를 형성하면서 보편적 재난지원금 등 자신의 색깔을 뚜렷하게 드러내며 지지층을 확보하고 있는 반면 윤 총장은 추 전 장관의 퇴임과 검찰개혁 논의가 일단락되면서 정치인 후보들에 비해 추동력이 급격히 약화되는 모습이다.
박영선 전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의원
박영선 전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의원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 금태섭 전 의원.  연합뉴스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 금태섭 전 의원.
연합뉴스
민주당 지지층 “이재명 45%”
국민의힘 지지층 “윤석열 32%”

민주 지지층서 이낙연 28%

민주당 지지층에서는 이 지사를 꼽은 응답자가 45%였고 이 대표는 28%였다.

국민의힘 지지층은 윤 총장(32%)에 대한 지지가 가장 높았고 이 지사(13%), 무소속 홍준표 의원(11%) 순이었다.

대통령감으로 적합한 인물이 없거나 해당 문항에 응답하지 않은 ‘태도 유보’는 35%였다.

정당 지지도는 민주당 34%, 국민의힘 20%, 열린민주당 5%, 정의당 4%, 국민의당 4%순이었다.
이미지 확대
코로나19 시대 교육·보육 고심
코로나19 시대 교육·보육 고심 오세훈 국민의힘 서울시장 예비후보가 30일 오후 서울 광진구 자신의 사무실에서 열린 ‘코로나19 시대 교육·보육 모색 웨비나’에서 참석자들과 대화하고 있다. 2021.1.30 뉴스1
이미지 확대
나경원 전 의원이 25일 오전 경기도 성남시 SK바이오사이언스 판교본사를 방문해 안재용 대표와 대화하고 있다. 2021. 1. 25 국회사진기자단
나경원 전 의원이 25일 오전 경기도 성남시 SK바이오사이언스 판교본사를 방문해 안재용 대표와 대화하고 있다. 2021. 1. 25 국회사진기자단
서울, 민주 28% vs 국힘 21%
부울경, 민주 28% vs 국힘 26%

4월 7일 시장 보궐선거를 앞둔 서울에서는 민주당이 28%, 국민의힘이 21%의 지지를 받았다.

부산·울산·경남에서는 민주당 28%, 국민의힘 26%로 나타났다.

한편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한 긍정평가는 2주 전보다 2% 포인트 상승한 46%, 부정평가는 2% 포인트 하락한 46%였다.

이 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4일 통화하는 문재인 대통령. 출처:청와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4일 통화하는 문재인 대통령. 출처:청와대
강주리 기자 jurik@seoul.co.kr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