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경우의 언파만파] 재중동포와 조선족

[이경우의 언파만파] 재중동포와 조선족

이경우 기자
입력 2021-01-31 17:34
업데이트 2021-02-01 01: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동포’(同胞)가 본래 가진 의미는 ‘한 부모에게서 태어난 형제자매’다. 한마디로 ‘한 핏줄’이라는 뜻이다. 그렇다 보니 동포란 말에는 애틋하거나 다정한 감정이 들어간다. 의미가 넓어졌어도 이런 감정은 사라지지 않는다. 표준국어대사전도 ‘같은 나라 또는 같은 민족의 사람을 다정하게 이르는 말’이라고 풀이한다.

외교부가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2018년 12월 31일 기준 재외동포는 749만 3000명이다. 중국과 이스라엘에 이어 세계에서 세 번째로 많은 숫자다. 이 가운데 미국에 사는 동포가 가장 많아 254만 7000명이다. 다음이 중국으로 246만 1000명, 이어 일본이 82만 5000명이다. 재외동포 가운데 78% 정도가 이 나라들에 산다.

이들은 다정한 우리의 동포들로 불린다. 미국에 사는 이들은 ‘재미동포’, 중국에 사는 이들은 ‘재중동포’, 일본에 사는 이들은 ‘재일동포’가 된다. 애틋한 마음이 더하면 ‘동포’ 대신 ‘재미교포’, ‘재중교포’, ‘재일교포’라고도 한다. 그쪽 나라 국적을 가졌더라도 모두 같은 민족이라는 것을 밝히면서 친근감을 더한다. ‘나라’보다 ‘민족’에 무게중심을 놓으며 그들을 당기고 대접한다.

그렇지만 재중동포는 조금 다르다. 재중동포들은 중국에서 ‘조선족’으로 불린다. 중국에 있는 56개의 민족 가운데 하나다. 이들은 구한말과 일제강점기에 이주한 이들의 후손이다. 북한에서 ‘한민족’을 ‘조선족’이라고 하듯이 그들에게도 ‘조선족’이란 이름이 붙은 모양이다. 한데 우리도 일부 ‘조선족’이라고 부른다. 같은 민족인데 다른 관계인 것처럼 호칭하는 것이다.

1992년 한국과 중국의 수교 이후 수많은 재중동포들이 들어오기 시작했다. 재미ㆍ재일 동포들과 달리 그 전에는 만나지 못했었다. 더 관심의 대상이 됐다. 한데 특이하게 재중동포들은 중국에서 쓰던 ‘조선족’이라는 이름표를 달기도 했다. 한쪽에서 그대로 조선족이라는 호칭이 쓰이기 시작했고 지금도 그대로 불린다. 습관이라기보다 재미동포나 재일동포와 다른 시각으로 대하는 것이다.

차별이란 의식이 들어 있다. 중국에서는 단지 하나의 민족 이름이지만, 대한민국에서는 그렇지 않은 이름이다. 우리에게는 조선족이 아니라 재중동포이거나 중국동포들이다. 중국에서 ‘조선족’ 대신 ‘한민족’이라는 이름으로 불렸으면 달랐을지도 모르겠다. 그러면 미국이나 일본의 동포들에게처럼 일찍부터 모두 재중동포라고 했을 수도 있었겠다. 남북 분단과 달라진 언어가 준 영향도 있을 듯하다.

wlee@seoul.co.kr
2021-02-01 27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