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경우의 언파만파]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이경우의 언파만파]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이경우 기자
입력 2021-01-24 20:30
업데이트 2021-01-25 10: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북한의 정식 국명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다. 그렇지만 우리가 이렇게 부르는 일은 찾기 어렵다. ‘북한’이 가장 일반적이다. ‘북측’, ‘북쪽’이라고 하거나 그냥 ‘북’이라고도 한다. 한데 ‘북한’이란 표현은 ‘대한민국’ 안에서 북쪽 지역을 가리킨다. 우리 영토라는 의식이 들어 있다. 그래서 북한 사람들과 회담이나 직접 대화를 할 때는 ‘북한’이라는 표현을 쓰지 않는다. 상대를 존중해 ‘북측’이나 ‘북쪽’이라고 표현한다. 반대로 북쪽 사람들은 평소처럼 ‘남조선’이라고 하지 않고 ‘남측’, ‘남쪽’이라고 한다. 서로 정식 국명을 쉽게 표현하지 못하고 어물쩍 ‘남’과 ‘북’을 내놓는 것이다. 본래 하나였고 하나가 돼야 한다는 바탕과 의지가 깔려 있다.

광복 50주년을 맞은 1995년 언론단체들인 한국기자협회·전국언론노동조합·한국피디연합회는 ‘평화통일과 남북 화해 협력을 위한 보도제작 준칙’을 내놓았다. 이 언론단체들은 보도제작 준칙에서 상대방의 국명을 있는 그대로 쓰자고 밝혔다. 평화의 길로 가려면 남과 북의 차이를 먼저 인정하고 상대를 존중해야 한다는 생각에서였다.

‘대한민국’(약칭 ‘한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약칭 ‘조선’)이라고 쓰자는 것이었다. 남과 북의 현실을 인정하자는 차원이었다. 그래야 평화적인 협력과 공존으로 나아갈 수 있다고 여겼다. 보도제작 준칙이 지닌 의미는 컸다. 남북 언론 교류 과정에서 유효한 지침 구실을 했다. 그렇지만 ‘조선민주주의공화국’도 ‘조선’도 여전히 낯설고 멀리해야 하는 국명이 되고 있다. 그것이 평화와 공존으로 가는 길에 있는 것이기는 한데 미심쩍게 보려고 한다.

북한과 미국의 대화를 북쪽에선 ‘조미 대화’라고 하지만, 우린 ‘북미 대화’라고 한다. 직접 인용한 문장 속의 ‘조미 정상회담’, ‘조중 회담’ 같은 표현은 낯설게 비친다. 북쪽의 언론은 ‘대한민국’ 대신 ‘남조선’이라고 하는 게 일반적이다.

이 준칙에선 북쪽 사람들의 호칭도 있는 그대로 쓰자고 했다. 이후 남북 정상회담이 이어지며 북쪽 인물들에 대한 호칭은 어느 정도 준칙에서 밝힌 대로 적용된다. 북쪽 인물들에도 성명 다음에 직책을 붙이는 일이 흔하다. 2018년 4차 남북 정상회담 때는 대부분 언론이 ‘리설주 여사’라고 했고 지금도 그렇게 표현한다.

광복은 곧 분단으로 이어졌다. 대통령들은 광복절 기념사마다 ‘평화’를 담았다. 남북 대결이 아니라 공존, 교류와 협력을 말했다. 상대의 이름을 있는 그대로 불러 주는 것도 평화로 가는 걸음이 된다.

wlee@seoul.co.kr
2021-01-25 27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