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전투지역 방불”…바이든 취임식 앞두고 워싱턴DC 철통 경계

“전투지역 방불”…바이든 취임식 앞두고 워싱턴DC 철통 경계

이보희 기자
입력 2021-01-19 07:19
업데이트 2021-01-19 07: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울타리와 주 방위군으로 둘러싸여 요새화
1만7000명의 병력 현장 배치

바이든 취임식 앞두고 출입 통제하는 주 방위군. 연합뉴스
바이든 취임식 앞두고 출입 통제하는 주 방위군.
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차기 대통령의 취임을 이틀 앞두고 18일(현지시간) 취임식이 열릴 워싱턴DC에서는 전투 지역을 방불케 하는 철통 경계가 이어지고 있다.

워싱턴DC 시내는 상당 구역이 봉쇄됐다. 백악관과 취임식 장소인 연방 의사당 주변 도로는 폐쇄됐고 주요 장소는 철제 펜스로 둘러싸였다.

CBS 방송은 “바이든 대통령 당선인이 취임하는 주간이 시작되면서 워싱턴DC는 요새로 변했다”고 삼엄한 분위기를 전했다.

CNN도 워싱턴DC뿐만 아니라 각 주(州) 정부가 취임식 때까지 비상 태세에 돌입했다면서 특히 지난 주말 동안 워싱턴DC의 거리는 울타리와 주 방위군으로 둘러싸여 더욱 요새화됐다고 전했다. 주 방위군 대변인에 따르면 전날 저녁까지 1만7000명의 병력이 현장에 배치됐다.

앞서 워싱턴DC에는 첫 흑인 대통령 탄생으로 테러 우려가 제기됐던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2009년 취임식보다 배 이상 많은 2만 명의 주 방위군이 투입되고 이를 2만5000명까지 늘릴 것이라는 보도가 이어졌다.

국방부는 취임식에 최대 2만5000명의 주 방위군 투입을 허가했다고 CNN은 전했다. CNN의 군사 분석가인 마크 허틀링 예비역 중장은 2만5000명의 주 방위군 배치는 통상 취임식에 참석하는 병력의 약 2배라면서 “그건 마치 전투 지역 같다”고 말했다.

의회 주변 명소인 내셔널 몰은 대부분 폐쇄됐고 많은 기념물과 건물은 접근이 불가능한 상태다. 내셔널 몰 인근 지역도 허가된 사람·차량만 제한적으로 이동하는 등 극도의 통제가 이뤄지고 있다.

미 국립공원관리청(NPS)의 마크 리커스트 대변인은 “전례가 없고 거의 초현실적”이라며 이는 평화적 정권 교체를 보장하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바이든 취임식날 폐쇄될 워싱턴DC의 내셔널 몰. 연합뉴스
바이든 취임식날 폐쇄될 워싱턴DC의 내셔널 몰.
연합뉴스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취임식 안전에 대한 우려 때문에 전미여객철도공사(암트랙)도 워싱턴DC 인근의 열차 운행을 일부 중단했다.

암트랙은 미 북동 지역 열차가 19일과 20일에 유니언 역에서 운행이 종료될 것이라고 이날 밝혔다. 버지니아까지 가는 티켓을 가진 승객은 여행 계획을 조정해야 한다.

이날 오전에는 취임식 리허설 도중 인근에서 화재가 발생하자 연방의사당이 일시적으로 봉쇄되고 사람들이 대피하는 일이 발생하기도 했다.

취임식 경호를 책임진 대통령 비밀경호국(SS)은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의사당 인근에서 소규모 화재가 발생해 진화됐다고 한 뒤 “만일의 사태를 대비해 의사당을 일시 봉쇄했다”며 “대중을 향한 위협은 없다”고 설명했다.

CNN은 미 전역에서 극우 집단의 무장 시위 가능성에 대한 연방수사국(FBI)의 경고 이후 당국이 경계수위를 높인 가운데 지난 주말에는 소규모 시위만 있었지만, 당국자들은 취임식을 앞두고 경계를 늦추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바이든의 대통령 취임식에 참석하지 않는 대신 공군기지에서 전례 없는 퇴임 행사를 할 예정이다.

워싱턴포스트(WP)와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바이든이 취임 선서를 하기 직전인 20일 오전 백악관을 출발해 인근 앤드루스 공군기지로 향한다.

여기에서 송별 행사를 하고 대통령 전용기인 에어포스원을 타고 자택이 있는 플로리다로 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보희 기자 boh2@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