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사퇴 않겠다는 秋, 보란듯 복귀한 尹… 文, 정치적 부담만 커졌다

사퇴 않겠다는 秋, 보란듯 복귀한 尹… 文, 정치적 부담만 커졌다

임일영 기자
임일영, 손지은 기자
입력 2020-12-01 18:08
업데이트 2020-12-01 18:3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동반 퇴진도 무산… 정치권 시계제로

秋, 文 면담에 동반 퇴진 최종 조율 관측
법무부는 “상황 보고 위한 것” 선 그어
순차 퇴진 등 당사자 반발에 무산 관측도
“檢 개혁 동력 잃을라” “국민적 피로감”
법무장관 거취 놓고 여권 분열만 확산
野 “윤 총장 사퇴 요구는 해괴한 발상”
이미지 확대
秋 지지 대자보, 내용은 “文, 직무배제를”
秋 지지 대자보, 내용은 “文, 직무배제를” 현 정부를 풍자한 전국대학생대표자협의회의 대자보가 1일 서울 마포구 홍익대에 붙어 있다. ‘추미애 장관님을 지지합니다’라는 제목의 대자보이지만 문재인 대통령의 ‘직무배제’를 요구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윤석열 검찰총장에 대한 법무부 징계위원회가 열리기 하루 전인 1일 여권은 긴박하게 움직였다. 청와대와 정부서울청사를 화상으로 연결하는 국무회의가 열리기 직전인 오전 9시 45분쯤 정세균 국무총리와 추미애 법무부 장관이 10여분간 티타임을 한 데 이어 국무회의 직후인 오전 11시 15분쯤 추 장관의 차량이 청와대로 들어가는 장면이 포착됐다.

하지만 오후 4시 30분쯤 법원에서 윤 총장이 직무배제 명령에 반발해 제기한 집행정지 신청을 인용하고 윤 총장이 업무에 복귀하면서 이번 사태가 ‘시계제로’로 치닫는 것은 물론 윤 총장에 대한 징계 결정 전에 ‘교통정리’를 하려던 구상도 헝클어지게 됐다. 만약 징계위 결론을 토대로 추 장관이 윤 총장의 면직을 건의하더라도 문재인 대통령이 떠안아야 할 정치적 부담은 더욱 커진 모양새다.

정치권에서는 전날 주례오찬에서 정 총리가 문 대통령에게 윤 총장의 퇴진이 불가피한 것은 물론 ‘국정운영의 부담’을 들어 추 장관도 책임을 져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 만큼 둘의 거취를 둘러싼 최종 조율이 이뤄지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쏟아졌다.

그러자 법무부는 오후 2시 36분쯤 출입기자단에 보낸 문자메시지를 통해 추 장관과 정 총리, 문 대통령의 만남은 ‘상황 보고’를 위한 것이며 “사퇴 논의는 전혀 없었다”고 선을 그었다.

문 대통령과 정 총리가 사태 해결을 위해 어떤 구상을 했는지는 정확하게 알 수 없지만 추 장관은 사퇴할 뜻이 없음을 분명히 한 셈이고 윤 총장은 자진 사퇴는커녕 한술 더 떠 법원 결정이 나온 직후 곧바로 대검청사에 출근하는 등 공세적인 모습을 보이면서 문 대통령과 정 총리도 어찌할 수 없는 상황으로 치달았다. 더욱이 2일 징계위를 주도해야 할 고기영 법무부 차관이 윤 총장의 손을 들어주며 돌연 사표를 던지는 바람에 윤 총장 해임조차 쉽지 않게 됐다.

정 총리가 꺼낸 ‘동반 퇴진론’은 오히려 여권의 분열만 부추기는 결과를 낳았다. 지난달 중순 문 대통령에게 추 장관에 대한 부정적 여론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진 이낙연 대표는 최근 들어 윤 총장의 자진 사퇴를 고강도로 압박했던 터라 정 총리의 해법에 동의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동반 퇴진에 반대하는 이들은 추 장관이 물러나면 검찰개혁 동력을 잃을 것을 우려했다. 한 최고위원은 “양비론은 검찰개혁을 위해 죽도 밥도 아닌 상황”이라며 윤 총장의 해임이 우선이라고 했다. 하지만 추 장관의 거취 정리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적지 않다. 또 다른 최고위원은 “국민정서와 피로감을 살폈을 때 동반 퇴진이 맞다”고 말했다.

야권은 동반 퇴진론에 반발했다. 국민의힘 주호영 원내대표는 “정 총리께서 추 장관 해임 건의를 해야 맞다”며 “윤 총장의 자진 사퇴를 요구하는 것은 해괴한 발상”이라고 밝혔다.

임일영 기자 argus@seoul.co.kr
손지은 기자 sson@seoul.co.kr
2020-12-02 4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