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중증환자 응급실 체류 평균 6시간…여전히 과밀한 응급실

중증환자 응급실 체류 평균 6시간…여전히 과밀한 응급실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20-11-27 14:32
업데이트 2020-11-27 14: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응급실. 사진=연합뉴스
응급실. 사진=연합뉴스
치료가 시급한 중증환자가 응급실에 머무는 평균 시간이 6시간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응급의료서비스 개선 노력이 이뤄지고 있지만, 응급실 혼잡도는 여전하다.

27일 보건복지부와 국립중앙의료원이 발표한 ‘2019년 응급의료기관 평가‘ 결과에 따르면 중증 환자가 응급실에 내원한 뒤 퇴실하기까지 걸린 시간은 권역응급의료센터가 5.9시간, 지역응급의료센터가 6.1시간 등으로 6시간 내외였다. 전년도 중증 환자의 응급실 재실 시간이 각각 권역 6.8시간, 지역 6.3시간이었던 것에 비하면 개선된 수치지만, 뚜렷한 변화를 보이진 않았다.

내원 환자 수와 재실 시간을 고려해 병상 이용률의 과밀 정도를 계산한 ‘병상 포화 지수’는 지난해 권역 응급의료센터가 65.6%으로 파악됐다. 전년(68.0%)보다는 포화도가 낮아졌다. 그러나 지역응급의료센터는 포화지수가 44.1%에서 46.1%로 2%포인트 상승했다.

다만 중증 응급환자를 적정 시간 이내에 전문의가 직접 진료한 비율은 권역응급의료센터가 83.1%, 지역응급의료센터가 90.3% 등으로 모두 전년보다 개선됐다.

조사 대상은 권역응급의료센터 35곳, 지역응급의료센터 125곳, 지역응급의료기관 239곳 등 399곳이다.

복지부는 이번 평가 결과 필수 영역인 지정기준을 충족하지 못해 ‘C등급’을 받은 응급의료기관 22곳에는 관할 지방자치단체를 통해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 부과 등 행정조처를 내렸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