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경우의 언파만파] 교수, 시인, 스님

[이경우의 언파만파] 교수, 시인, 스님

이경우 기자
입력 2020-11-22 21:06
업데이트 2020-11-23 02: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대학에서 학생을 가르치고 연구하는 이들은 지금처럼 ‘교수’로 불리지 않았었다. 초·중·고등학교 교사들에게 ‘선생님’이라고 하듯 학생들은 이들을 ‘선생님’이라고 불렀다. 교수들도 당연히 이런 호칭이 바람직한 것이라고 여겼다. 그래서 언제부턴가 학생들이 슬며시 ‘교수님’이라고 부르는 것에 불쾌한 감정을 드러내기도 했다. ‘교수’란 호칭이 주는 거리감에 불편을 느꼈던 것이다. ‘선생님’이 가르치고 배우며 밀접해지는 관계를 나타냈다면, ‘교수님’은 대가를 주고받는 관계를 의식하게 했다. 교수들은 학생들이 자신들의 ‘선생님’을 더 대접하고, 권위를 실어 주고, 만족시키려고 그러는 것이라면 얄팍한 생각이라고 여기기도 했다. 여기에다 ‘교수’라는 직업 이름으로 불리는 것도 마땅치 않았다. 이제는 이런 의심과 불편함은 사그라지고 대학의 ‘선생님’들은 대학 내부는 물론 외부에서도 ‘교수’란 호칭, 지칭으로 거의 자리를 잡은 듯하다.

‘시인’들에게도 언제부터인가 이름 뒤에 직업명인 ‘시인’을 붙여 부르는 일이 흔해졌다. ‘시인 김아무개씨’가 아니라 ‘김아무개 시인’ 또는 ‘김 시인’이라고 한다. 마찬가지로 소설가들도 같은 방식으로 호명되고 지칭된다. 언론매체에도 그대로 전달돼 낯설면서도 거부하기 어려운 풍경이 돼 가고 있다. 이것은 아무래도 ‘씨’의 가치 하락에서 온 듯하다. ‘씨’가 본래 지녔던 존칭의 의미가 퇴색하면서 다른 호칭 방식을 찾은 것이다. 여기에 더해 ‘직함’이나 ‘직업’ 이름을 붙여야 상대를 대접하고 권위를 실어 주는 것이라는 의식이 결합한 것이라고 볼 수도 있겠다. 그렇지만 ‘교수나 변호사, 기자’처럼 ‘직업’이 ‘직함’이 되는 대상과 달리 시인들에게 ‘김 시인’, ‘이 시인’이라고 하는 건 여전히 마뜩지 않게 느끼는 시선들이 많아 보인다.

아주 익숙해졌지만 따져 보면 더 불편하게 다가오는 건 ‘스님’이다. 국어사전들의 설명에도 나와 있듯이 ‘스님’은 ‘중’ 혹은 ‘승려’를 높이는 말이다. 그렇지만 다른 종교의 목사나 신부들과 달리 모든 상황에서 승려들은 ‘스님’으로만 불리고 지칭된다. 최근 구설에 올랐던 승려들도 거의 ‘스님’으로만 지칭됐다. 낯익으면서도 낯설게 하는 호칭이었다. ‘중’은 낮추는 말이 돼 버렸고, ‘승려’는 ‘스님’에 밀려 덜 쓰는 말이 됐다.

타인을 부르고 가리키는 말들이 지나치게 높이거나 격식을 따지거나 권위를 높이는 쪽으로 여전히 가고 있다. 코로나19에 따른 비대면 사회는 이런 흐름에도 어떤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까.

wlee@seoul.co.kr
2020-11-23 2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