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고민과 저항의 삶… 인간 리영희를 읽다

고민과 저항의 삶… 인간 리영희를 읽다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20-10-27 17:48
업데이트 2020-10-28 01: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0주기 맞아 평전·선집 동시 출간

‘진실에 복무하다’ 가족·지인 인터뷰 등 반영
‘생각하고 저항하는’ 대표작 22편 골라 실어
“편견과 오해 깨고자 했던 것들 지금도 건재”
이미지 확대
리영희 선생 10주기를 맞아 평전을 쓴 권태선(가운데) 환경운동연합 공동대표와 선집을 낸 백영서(왼쪽) 리영희재단 이사장, 최영묵 성공회대 신문방송학과 교수가 27일 서울 망원동 창비 사옥에서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창비 제공
리영희 선생 10주기를 맞아 평전을 쓴 권태선(가운데) 환경운동연합 공동대표와 선집을 낸 백영서(왼쪽) 리영희재단 이사장, 최영묵 성공회대 신문방송학과 교수가 27일 서울 망원동 창비 사옥에서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창비 제공
“리영희 선생은 냉전과 군부독재의 상황에서 담연히 일어나 잘못을 말한 ‘벌거벗은 임금을 비판한 소년’이었다.”

고 리영희 선생과 제도권 밖에서는 사제 관계를 맺었고, 한겨레신문에서 기자로 함께 근무했던 권태선 환경운동연합 공동대표는 선생을 이렇게 소개했다. 이어 “1974년 대학에 들어갔을 때 ‘전환시대의 논리’를 읽고 머리에 지진이 일어난 것 같았다. 긴급조치가 내려지고, 민청학련 등이 일어난 암흑과도 같았던 시기에 당시 담론과 다른 이야기를 하는 책을 낸 이가 누구인가 하는 관심이 생겼다”고 당시를 회상했다.
이미지 확대
이미지 확대
‘전환시대의 논리’를 비롯해 ‘우상과 이성’, ‘분단을 넘어서’ 등으로 우리 시대를 일깨운 리영희 선생 10주기를 맞아 평전과 선집이 나란히 출간됐다. 출판사 창비는 27일 서울 망원동 창비 사옥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평전 ‘진실에 복무하다’와 선집 ‘생각하고 저항하는 이를 위하여’를 출간한다고 밝혔다.

평전을 쓴 권 대표는 “엄혹한 시대에 그런 용기는 어디서 오는 것인가 항상 궁금했고, 평전의 서술도 그것을 따라간다”고 설명했다.

책은 ‘수업시대’, ‘연마시대’, ‘실천시대’, ‘성찰의 시대’ 등 4부분으로 구성했다. 가족은 물론 지인과 충분한 인터뷰를 거쳤고 구속과 해직, 연행을 반복한 투사로서의 활동은 물론 선생의 인간적인 면모도 많이 반영했다. 권 대표는 “한쪽에서는 ‘사상의 은사´, 반대편에서는 ‘의식화의 원흉´이라는 비판이 나오는데, 평전이 그런 오해를 바로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선집은 리영희재단 이사장인 백영서 연세대 명예교수와 최영묵 성공회대 신문방송학과 교수가 선생의 전체 저서와 번역서 20여권, 7500면에 이르는 350편 글 가운데 대표작 22편을 골라 실었다. 베트남전쟁, 중국 사회주의 사상, 국가보안법, 사회주의 몰락 시기 발표 글을 포함해 선생이 대표작으로 꼽은 ‘대화´의 글, 일본 교과서나 친일 극복, 미국 사회의 그늘을 다룬 글 등이 포함됐다.

1986~1995년 선생의 연구실에서 조교로 지냈던 최 교수는 “한 분야에서 정통한 이는 많지만 시대 전체를 아우르며 미래까지 조망하면서 울림 있게 설득할 수 있는 글을 쓴 이는 선생 이후 불가능할 것이다. 제국과 권력, 파시즘, 친일, 사회주의 등 우상과 평생 싸우며 우리의 편견과 오해를 깨고자 했던 것들은 지금도 건재하다”고 말했다.

백 교수는 “글을 고를 때 현재성이 있는가 고민을 많이 했다. 미국과 일본에 관해 비판한 글은 지금의 코로나19 사태, 그리고 일본의 군국주의 행태로 보건대 충분한 현재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가 원한 것은 ‘리영희가 필요 없는 세상’이었다”면서 “10주기를 맞아 발행한 책과 관련 행사들이 그를 넘어서는 작업이 되길 바란다”고 했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20-10-28 23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