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선 넘는 일요일] 한복에도 유행이 있다고요?...그때 그 시절 추석빔

[선 넘는 일요일] 한복에도 유행이 있다고요?...그때 그 시절 추석빔

장민주 기자
입력 2020-10-01 09:08
업데이트 2020-10-05 08: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더도 말고 덜도 말고 늘 한가위만 같아라”

음력 팔월 보름이자 가을의 한가운데 달로, ‘민족 대명절’이라고 불리는 추석.

1970년대 추석은 어떤 모습이었을까? ‘선데이 서울’로 보는 70년대 추석 간접 체험, 그중 한복을 입은 70년대 스타들의 모습과 함께 70년대 한복의 특징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그렇다면, 70년대 한복의 가장 큰 특징은 무엇이었을까? ‘대한민국 한복 일인자’ 박술녀 한복연구가에게 물었다.

Q. 1970년대 한복만의 특징이 있는가?
박술녀 한복연구가(이하 박) : 70년대 한복의 특징이라고 하면 가장 쉽게 눈에 들어오는 것이 ‘붕어배래’다. 소매의 통이라고도 하는 부분을 ‘배래’라고 하는데, 그 너비가 70년대에는 굉장히 넓었다. ‘붕어배래’라는 표현은 소매의 통이 굉장히 넓었다는 것을 뜻한다. 또 깃과 섶, 앞쪽길이 매우 짧았으며 치마는 바닥을 쓸 정도로 길이가 길었다. 고름의 너비도 넓고 치렁치렁했다.
한복 저고리 구조 및 명칭
한복 저고리 구조 및 명칭
Q. ‘선데이 서울’ 속 한복 사진을 보면 유난히 화려한 한복이 많은 것 같다.
박 : 우리 한복의 특징을 한마디로 표현하자면 ‘화려함’이다. 가장 축복받는 날에 입는 옷이 한복이다. 그러다 보니 ‘화려함의 극치’를 이루었던 것 같다. 한복이 가진 가장 아름다운 매력은 ‘빛깔’이라고 생각한다. 우리 조상 또한 그런 매력으로 화려한 색의 한복을 많이 입었으리라 생각한다.

Q. 한복에도 유행이 있는가?
박 : 한복은 우리나라 문화를 담고 있는 의복이다. 예를 들어 IMF 때는 전체적인 의복 색이 어두워졌다. 그러나 경제가 부흥하게 되면 의복 색도 따라 화려해진다. 이렇듯 한복은 우리나라 문화를 담고 있는 의복이기 때문에 상황과 환경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예전 결혼식 때에는 으레 꽃분홍 저고리나 빨간 치마에 녹색 저고리를 입었다. 빨강은 남성, 즉 양(陽)을 상징한다. 녹색이나 푸른색은 여성, 음(陰)을 상징한다. 그래서 남녀가 결합한다는 뜻의 염원을 담은 관습적인 옷이기도 한 것이다.
선데이 서울 추석특집호에 실린 정소녀(1978년 9월 17일자)와 장미희(1979년 10월 7일자)
선데이 서울 추석특집호에 실린 정소녀(1978년 9월 17일자)와 장미희(1979년 10월 7일자)
Q. 최근의 한복 트렌드는?
박 : 지금은 70년대 한복의 반대라고 생각하면 된다. 배래도 좁아졌고 깃과 섶이 넓어졌으며 고름도 짧아진 변화를 볼 수 있다. 유행이 변해가면서 서양의 영향도 없지 않아 받게 된 것 같다. 옛날에 비해 제대로 짤 수 있는 좋은 비단이 없다 보니 젊은 사람들이 선호하는 ‘파스텔톤’, ‘흐린 색’으로 변하고 있는 것 같다. 하지만 한복도 의복이기 때문에 유행을 거칠 수밖에 없는 ‘트렌드’라고 표현하고 싶다.

Q. 한복을 입는 젊은 세대들이 많이 줄었다.
박 : 그런 부분에 대해서 아쉽기는 하지만 오히려 최근 들어 명절만이라도 한복을 입으려고 하는 사람들이 많이 늘었다. 설날에 세배를 드릴 때 의외로 한복을 입고 어른들에게 세배를 드리거나 예를 갖춘 분들도 많이 있다. 이것 또한 하나의 문화라고 생각한다. 그래도 그 중에는 우리 것을 찾으려고 노력하는 분들이 많기 때문에 희망적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우리 것’이 많이 사라져 가고 있는 현재, 이번 추석에나마 민족의 희로애락을 담은 한복을 한 번 입어보는 것은 어떨까.

글 장민주 인턴 goodgood@seoul.co.kr
영상 임승범 인턴 장민주 인턴 seungbeom@seoul.co.kr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