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감옥 두려웠나” 전공의 88% 최대집 의사협회장 탄핵 찬성

“감옥 두려웠나” 전공의 88% 최대집 의사협회장 탄핵 찬성

윤창수 기자
윤창수 기자
입력 2020-09-27 12:16
업데이트 2020-09-27 12: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최 회장 등 의협 집행부 불신임 여부 오늘 결정

정부와의 합의안 서명, 젊은의사 사전동의 없이 의협 명예 훼손 주장

최대집(왼쪽) 대한의사협회장이 25일 강도태 보건복지부 제2차관을 만나 의대생 의사 국가고시 실기시험 응시를 위한 정부의 협조를 촉구하고 있다. 대한의사협회 제공
최대집(왼쪽) 대한의사협회장이 25일 강도태 보건복지부 제2차관을 만나 의대생 의사 국가고시 실기시험 응시를 위한 정부의 협조를 촉구하고 있다. 대한의사협회 제공
최대집 대한의사협회(이하 의협) 회장에 대한 불신임 여부가 27일 오후 의협 대의원총회에서 결정된다.

의협은 이날 오후 2시 스위스그랜드호텔 서울 컨벤션센터 4층에서 임시 대의원총회를 열고 최 회장을 포함 총 임원 8명에 대한 불신임 여부를 결정한다.

최 회장은 의료계 집단 휴진을 주도해오다가 지난 4일 정부·여당과 의대정원 정책 추진 및 집단휴진 중단과 관련해 ‘원점 재논의’ 합의문에 서명한 바 있다.

이에 전공의뿐 아니라 의협 내부에서도 강한 반발이 일었다. 같은 날 임현택 대한소아청소년과의사회 회장(의협 대의원) 등은 의협에 최 회장에 대한 불신임안을 신청했다고 밝혔다.

특히 범의료계 4대악 저지투쟁 특별위원회(범투위) 소속인 젊은의사 비상대책위원회의에 사전 동의를 받지 않았고, 이로 인해 의협 회원들의 명예를 심각하게 훼손했다는 게 불신임안 신청 사유다.

하지만 이번 불신임 안건에 대해 전체 의료계 의견은 갈리고 있다.

대한병원의사협의회는 지난 17일 성명에서 “불과 2주 전만 해도 정부와 투쟁에서 승리를 목전에 두고 있던 의료계 투쟁이 이렇게 이해할 수 없는 상황에 놓인 가장 큰 이유는 의료계를 대표하는 의협 회장이 회원들의 뜻에 반하는 날치기 합의를 독단적으로 진행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탄핵에 반대하는 목소리도 있다. 전국의사총연합(이하 전의총)은 지난 23일 성명에서 “대안이 없는 최대집 회장의 탄핵은 반대한다”며 “탄핵을 한다면 최소한 (정부와) 합의안은 지키고 정부와 여당이 이를 어길시 더 강력한 투쟁을 담보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한전공의협의회는 전날 성명서를 내고 “정치 사욕만을 챙기려는 무책임한 대한의사협회 집행부를 탄핵한다”고 발표했다.

전공의 1만 6000여명은 지난 여름 성공적 의료 파업을 준비했으나 의협 사무실의 불은 한 번도 켜져 있지 않았고, 법정 대표단체인 의협이 정부에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하지도 못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최대집 회장은 크레인에 올라타는 보여주기식 쇼맨십 이외에 투쟁 지속을 위해 기여한 것이 없고, 정부와의 비겁한 졸속 합의로 대한민국 13만 의사들을 기만했다고 비판했다.

전공의협의회는 “최대집 회장과 이하 집행부는 ‘정무적 판단’이란 정치적 사욕을 위한 농간이었는가 아니면 ‘감옥을 두려워했던’ 회장 개인의 비겁함 때문이었는가”라고 무책임한 행위의 이유를 따졌다.

대한전공의협의회의 ‘최대집 회장 및 의사협회 임원 불신임의 건’ 사전 조사 결과에서 최 회장 불신임은 2233개 응답 가운데 88% 찬성을 보였고, 의협 임원 불신임의 건은 85% 찬성률을 기록했다.

전공의협의회는 “이것이 젊은 의사들의 뜻이며, 처절한 분노가 담긴 결과”라며 “다시는 그 어떠한 정치세력이 이를 더럽히는 일이 없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윤창수 기자 geo@seoul.co.kr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