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씨줄날줄] ‘자토바이’/이동구 수석논설위원

[씨줄날줄] ‘자토바이’/이동구 수석논설위원

이동구 기자
입력 2020-09-17 20:42
업데이트 2020-09-18 01: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수많은 논문과 비평을 통해 강대국들의 폭력과 인권 유린을 고발해 ‘세계의 양심’, ‘미국의 양심’으로 불리는 ‘놈 촘스키’. 1960년대 베트남전쟁을 계기로 미국의 패권주의를 비판하고, “지식인의 책무는 진실을 말하는 것”이라며 실천적인 지식인의 삶을 살고 있는 그는 언어학자이다. “언어는 인간의 고유한 특성”이라 주장하며 ‘변형생성문법 이론’으로 언어학 발달에 혁명적 변화를 가져온 업적으로 ‘현대 언어학의 아버지’라 불린다.

언어란 사상과 감정을 표현하고 의사를 전달하기 위해 음성 또는 문자 등으로 사용하는 수단과 그 체계를 말한다. 인간만이 할 수 있는 능력이다. 언어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인간이라 말할 수 없다. 인간 외의 다른 동물도 의사표현을 하며 감정을 전달하지만 말이나 문자를 사용하지는 못한다. 인간을 ‘호모 사피엔스’(Homo sapiens)로 표현하다 언제부턴가 ‘호모 로쿠엔스’(Homo loquens)로도 표현한다. 호모 사피엔스가 인간의 생각하는 능력을 강조했다면 호모 로쿠엔스는 촘스키처럼 언어를 인간의 고유한 특성으로 부각한 말이다. 한발 더 나아가 “현대인은 디지털 시대가 고도화되면서 모바일 기술에 적응하며 진화한다”며 ‘호모 디지토 로쿠엔스’(Homo digito loquens)로 표현한다는 학자도 있어 흥미롭다.

언어에도 생명이 있다. 사람들이 사용하지 않으면 없어지고, 필요하면 새로운 언어가 생겨난다. 생성과 사멸을 반복하는 생명체와 똑 닮은 특성을 지녔다. 언어는 생각을 담는 그릇이라고도 한다. 인간의 희로애락과 높은 수준의 지적 사고를 모두 표현하고 전달한다. 그래서 언어는 사용하는 장소와 사람에 따라 색깔과 온도, 분위기도 달라진다. 물론 잘 알려진 대로 언어에는 시대성, 사회성도 담겨져 있다. 신조어와 유행어를 살펴보면 그 시대와 사회상을 느낄 수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최근 서울 집값이 폭등하자 ‘이생집망’(이번 생에 집 사기는 망했다)이라는 말이 생겼다. 입시지옥, 취업난, 주택난 등을 겪었던 젊은이들이 ‘이생망’, ‘헬조선’이라 자조했던 말의 변형인 셈이다.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이 되면서 곧바로 ‘코로나 블루’(코로나로 인한 우울증)라는 말이 생겨났다. 이제 전 세계인이 공감하는 단어가 됐다.

최근엔 비대면이 생활화되면서 ‘호모 언택트’(Homo Untact)라는 신조어도 등장했다고 한다. 배달시장이 커지면서 배달기사 간의 경쟁이 치열해지자 ‘자토바이’(자전거로 등록했지만 실제로는 오토바이로 배달)와 ‘킥토바이’(오토바이 대신 킥보드로 배달)를 고발하는 사례도 있다. 부정적인 신조어가 자꾸 만들어진다. 언제쯤 따뜻한 단어가 많이 생겨날 수 있을까.

yidonggu@seoul.co.kr

2020-09-18 31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