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지·공공의창, 코로나 예측지도
최근 3년간 독감이 많이 발생한 지역에서 코로나19 환자도 많이 나온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신문과 비영리 공공조사네트워크 ‘공공의창’, 지방자치데이터연구소와 여론조사기관 리서치DNA가 공동분석한 결과 수도권과 강원 지역의 독감 발생 시군구에서 코로나19 환자가 발생한 비율이 82.9%로 조사됐다. 분석에는 2016~2018년 596만명의 독감 환자 빅데이터, 지난 7월 9일까지 발생한 코로나19 환자 1만 2836명의 데이터를 사용했다.분석모델을 바탕으로 코로나19가 많이 발생할 위험 지역 순위를 예측한 결과 1위로 경기 부천이 꼽혔다. 2위와 3위는 서울 송파·강서, 4위는 인천 부평, 5위는 서울 강남으로 예측됐다.
조사팀은 독감과 코로나19의 감염 경로가 유사하다는 점에 착안해 두 질병의 지역발생을 비교 분석했다. 특히 20대와 50대 독감 환자와 코로나19 환자 발생 지역이 겹친 비율이 높다는 점을 확인했다. 전국적으로는 70.5%에 달했고, 코로나19가 집중적으로 발생한 대구·경북을 제외했을 때는 82.1%, 수도권과 강원을 놓고 봤을 땐 82.9%로 나타났다.
이번엔 예측률을 더 높이고자 코로나19 발생과 20대·50대 독감 발생 데이터를 합쳐 지역순위 합산 평균을 만들었다. 그러자 코로나19 발생 지역을 95% 수준까지 예측할 수 있었다.
조사팀은 이렇게 독감 데이터, 코로나19 데이터, 특허기반 분석기술을 활용한 예측자료를 토대로 시군구, 읍면동, 골목길까지 코로나19가 많이 발생할 위험이 있는 지역을 예측한 지도를 만들었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보고서와 자세한 지역별 데이터는 ‘공공의창’ 회원사 피플네트웍스(https://www.pnresearch.net)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