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돈의 힘… 동학개미… 깜짝실적… 약달러… 코스피 날개 달았다

돈의 힘… 동학개미… 깜짝실적… 약달러… 코스피 날개 달았다

유대근 기자
입력 2020-08-11 17:50
업데이트 2020-08-11 17: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코스피 2년 2개월 만에 2400선 돌파

이미지 확대
11일 서울 여의도 KB국민은행 딜링룸에서 한 직원이 2년 2개월 만에 2400선을 돌파한 코스피를 보며 기지개를 켜고 있다. 이날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32.29포인트 오른 2418.67로 장을 마감했다. 오장환 기자 5zzang@seoul.co.kr
11일 서울 여의도 KB국민은행 딜링룸에서 한 직원이 2년 2개월 만에 2400선을 돌파한 코스피를 보며 기지개를 켜고 있다. 이날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32.29포인트 오른 2418.67로 장을 마감했다.
오장환 기자 5zzang@seoul.co.kr
코스피의 오름세가 거침없다. 지난 2~3월 코로나19 여파로 바닥 모를 추락세를 보이던 코스피가 연일 연고점을 깨더니 11일에는 2400선마저 돌파했다. 이제 남은 고지는 2500선이다. 주요 증권사들은 예상 전망치를 높여 잡으며 추가 상승 여력이 있다고 보고 있지만, 이미 거품이 끼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적지 않다.

증권가에 따르면 최근 코스피 상승세를 견인한 요인은 크게 네 가지다. 우선 돈의 힘이다. 코로나19 여파로 경기 침체가 심각해지자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가 2022년 말까지 ‘제로(0) 금리’ 유지를 공언하는 등 각국 정부가 시장에 돈을 밀어넣고 있다. 오현석 삼성증권 리서치센터장은 “하반기에도 경기 부양을 위한 각국 정부의 재정확대 정책과 유동성이 주가에 호재로 작용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미지 확대
두 번째는 ‘동학 개미’로 불리는 개인투자자들의 유입이다. 지난 3월 코스피가 1457.64까지 곤두박질치자 삼성전자 등을 매수하며 시장에 발을 들인 개인투자자들은 계속 시장을 지키고 있다. 예적금에 돈을 묶어둬봤자 1%를 밑도는 수익률만 보장되는 데다 부동산 규제 정책으로 인해 주식에 관심을 두는 개인들이 늘었다. 이 때문에 투자 대기자금 성격인 예탁금은 지난해 말 27조원대에서 지난 10일 51조 1262억원으로 24조원 이상 늘었다. 강봉주 매리츠증권 애널리스트는 “개인투자자의 증시 참여는 일시적 현상이라기보다는 한국 증시의 구조적 수급 변화로 해석할 만하다”고 말했다.

최근 기업들이 발표한 2분기 실적이 예상보다 좋게 나온 점도 주가를 끌어올린 호재다. 특히 증권과 자동차, 기계, 건강관리, 정보기술(IT), 가전, 반도체 부문의 2분기 영업이익은 추정치를 상회했다. 또 달러화 약세 때문에 환차익까지 노리고 한국에 다시 돌아온 외국인 자금도 코스피 2400선 돌파에 한몫했다.

각 증권사들도 코스피 예상 밴드를 높여 잡으며 기대감을 반영하고 있다. 삼성증권은 연초 2350을 상단으로 예측했지만 최근 2500으로 올려 잡았고 하나금융투자(2450→2500), 신한금융투자(2400→2500), 유진투자증권(2480→2500), 한국투자증권(2370→2480) 등도 예상치를 상향 조정했다. 종가 기준 코스피 역대 최고점은 2018년 1월 29일 기록한 2598이다.

다만 전문가들은 악재도 염두에 두며 투자할 것을 주문했다. 오 센터장은 “코로나19 백신 개발이 속도를 높이는 등 호재가 남아 있지만, 대선을 앞둔 미국 내 혼란과 미중 긴장, 수직 상승한 밸류에이션(평가가치)에 대한 부담 같은 악재도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현재 주도주인 BBIG(배터리·바이오·인터넷·게임) 종목에 더해 IT주와 하드웨어, 자동차 등 경기민감 대표 종목도 포트폴리오에 올릴 만하다”고 말했다.

강 애널리스트는 “기업들의 이익이 전망치보다 소폭 나아진 것 치고는 주가 상승폭이 큰 점이 부담 요인”이라면서 “기존 주도주의 추가 상승보다는 반도체나 증권, 통신 등 이익 개선세에 비해 주가 반등폭이 크지 않던 종목의 순환매(강세장에서 각 업종이 돌아가며 오르는 현상) 가능성에 주목해 볼 만하다”고 말했다.

유대근 기자 dynamic@seoul.co.kr
2020-08-12 4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