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표 안심소득… 암투병 부모님 돌보는 청년 돕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한해 농사 망치는 야생조수…제주 “피해 보상 신청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젊은 공무원 챙기기 봇물… “사기 올라” “급여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나주 주몽 드라마 세트장 ‘철거안’ 확정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낙동강 하굿둑 장기간 개방했을 때 주변지역 지하수 염분 큰 영향 없어”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환경부, 한 달간 ‘실증 실험’ 결과 공개

실험 5곳서 염분 평상시 범위 내 평가
개방 후 둑 상류 바다 어류 종·개체수↑

낙동강 하굿둑을 한 달간 개방한 결과 고등어·농어·장어 등 바다나 기수역(바닷물과 민물이 섞인 수역)에 사는 어류가 수문을 통과해 둑 상류까지 이동한 것으로 확인됐다. 생태계 복원 가능성이 확인된 것이다. 인근 지하수의 염분 농도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환경부는 3일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 부산시, 한국수자원공사와 함께 올해 6월부터 한 달간 시행한 ‘낙동강 하굿둑 운영 3차 실증실험’ 결과를 공개했다. 3차 실험은 1, 2차와 달리 하굿둑을 장기간 개방했을 때 염분 변화 등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됐다. 두 번의 대조기(밀물이 가장 높을 때)에 단시간 및 상시 개방한 결과 유입된 염분이 하천 바닥으로 가라앉아 상류로 이동하고 유입 횟수가 반복될수록 하천의 저층에서 염분의 농도가 상승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염분이 최장 12.1㎞ 지점에서 검출됐고 실험 후 유입된 염분은 환경대응용수와 강우 방류 등을 통해 희석됐다. 하굿둑 주변 지역 지하수(287지점)의 염분 농도 변화를 관측한 결과 3차 실험에서도 1, 2차 실험처럼 주변 지하수 관정에서 유의미한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5곳에서 염분 변화가 있었으나 평상시 변화 범위 내로 평가됐다.

수생태계 측면에서는 하굿둑 상류(4지점)와 하류(1지점)를 조사한 결과 개방 후 둑 상류에서 전반적으로 물고기 종수와 개체 수가 증가했다. 고등어·농어뿐만 아니라 청멸치 무리와 전갱이 등 해수 어종이 수문을 통해 이동하는 모습도 확인됐다.

각 기관들은 1∼3차 실험 결과를 분석해 ‘낙동강 하구 기수생태계 복원 방안’을 올해 안에 마련할 예정이다.

세종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2020-08-04 11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