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근대광고 엿보기] ‘매약상’과 약장수, 약방

[근대광고 엿보기] ‘매약상’과 약장수, 약방

손성진 기자
입력 2020-07-05 20:42
업데이트 2020-07-06 01: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매일신보 광고에 실린 매약상의 실제 사진.
매일신보 광고에 실린 매약상의 실제 사진.
매일신보 1915년 5월 20일자 광고에 나온 ‘매약상’(賣藥商)의 모습이다. 매약상은 약을 들고 팔러 다니는 사람으로 매약행상이라고도 한다. 서양과 일본에서 근대 의약품이 들어오고 우리 제약 회사들도 전통 한약에 서양 의학을 접목해 약을 생산해 판매하기 시작했다. 동화약방의 ‘활명수’가 그 효시이고 화평당이나 제생당 등도 여러 종류의 약을 발매했다. 그러나 요즘의 약국과 같은 약품을 유통하고 판매할 조직이 없어 전국 각지를 다니면서 약을 판매할 수 있도록 하는 사람이 대신했는데 바로 매약상이다. 제약회사에서 매약상을 모집해 경향 각처로 보내기도 했다. 사진을 보면 대학생 모자와 같은 사각모를 썼고 밝은 색 코트를 입었다. 손에는 ‘청심보명단’(靑心保命丹)이라고 적힌 약품 상자를 들었다. 제생당약방에서 만든 청심보명단은 소화제로 둥글고 작은 환(丸)의 형태여서 휴대와 복용이 편리했다고 한다.

매약상과 비슷한 약종상은 진찰할 권한이 있는 반면 매약상은 단지 판매하는 일만 할 수 있었다고 한다. 그런데 각지를 돌아다니면서 의사를 사칭해 병을 고쳐 주겠다고 침을 놓아 준 다음 비싼 치료비를 요구하는 매약상들이 많았다(매일신보 1918년 7월 14일자). 무면허 매약상들이 날뛰어 환자들이 피해를 보았다. 이들은 주로 의료와 약의 혜택을 받기 어려운 벽지와 시골로 다니며 쇼를 보여 주고 엉터리 약, 가짜 약을 속여 팔거나 강매하다 적발되기도 했다.

“어리석은 촌민의 마음을 두렵게 하여 강제로 약을 맡긴 후 두세 사람씩 떼를 지어 가지고 강제로 약값을 징수하며 만약 약값을 내지 않는 사람이 있으면 심하면 구타까지 가하며 그 집안에 있는 물건을 아무것이나 뺏으며 잔인무도한 행동을 하는 터인 바이라.”(중외일보 1928년 1월 31일자) 이런 사기꾼과 같은 ‘약장수’들이 일제강점기에 수천명이 있었다고 하며 1970년대까지도 도시 변두리나 농어촌에서 흔히 볼 수 있었다.

광복 후에도 매약상과 약종상 제도는 유지됐다가 매약상은 1968년에, 약종상은 1971년에 폐지됐다. 약국은 약사가 의약을 조제하거나 판매하는 곳으로 약사법에 규정돼 있다. 매약상이나 약종상 등 의약품 취급업자들은 ‘약방’이라는 이름으로 단지 약을 판매만 할 수 있었다. 약국이 없는 면 단위 이하의 지역에 약품을 팔 수 있도록 하는 제도였다. 매약상과 약종상 제도의 폐지로 약방은 거의 없어졌지만 폐지 전에 개설된 약방은 농촌 마을에 남아 있다. 경남 김해의 경우 현재 약국이 173개 있지만 약방 두 곳도 영업 중이다. 약방은 조제나 의료행위를 할 수 없지만 과거 의사와 약사가 없는 시골에서 불법으로 하기도 했다.

손성진 논설고문 sonsj@seoul.co.kr
2020-07-06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