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소영의 도시식물 탐색] 식물을 즐기는 또 다른 방법, 먹는 꽃

[이소영의 도시식물 탐색] 식물을 즐기는 또 다른 방법, 먹는 꽃

입력 2020-07-01 20:14
업데이트 2020-07-02 03: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소영 식물세밀화가
이소영 식물세밀화가
15년 전 나는 처음으로 꽃을 먹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허브농장으로 견학 간 날, 점심 식사로 갖가지 허브식물이 든 비빔밥이 나왔다. 내 앞에 놓인 밥그릇을 숟가락으로 슬쩍 들추니 흰밥이 있고 그 위에는 이름 모를 허브와 채소 그리고 맨 위에는 노란색, 남색 팬지 꽃이 몇 장 놓여 있었다. 앞에 앉은 동기가 이 꽃은 장식용일 거라며 걷어 내려 하자, 교수님은 이 꽃도 먹는 것이라며 식물을 공부하려면 식물을 먹는 경험도 필요하다고 하셨다.

우리는 노랗고 파란 팬지 꽃잎 위에 빨간 고추장을 올려 그릇 안의 모든 식물을 비벼 먹었다. 다양한 식물의 향이 한꺼번에 느껴졌고, 잘 가꿔진 정원이 내 입안에 들어온 기분이었다. 어쨌든 이것이 내가 기억하는 첫 꽃 식용의 경험이다.

인류는 식물을 매개로 살아왔고, 그중에서도 먹는 데에 식물을 가장 많이 이용했다. 식물을 먹기 위해 원예를 시작했고, 그렇게 문명은 발달했다. 뿌리부터 줄기, 잎, 열매, 씨앗처럼 식물의 삶에 나타나는 모든 기관뿐만 아니라 죽은 나무에서 나는 버섯과 이끼, 심지어는 식물에 함유된 물과 기름까지 우리는 식물의 모든 것을 먹어 왔다. 그러나 한 가지, 꽃만은 대개 고유한 관상의 대상으로 여겼다. 15년 전 허브농장에서 내 동기가 밥그릇에 든 꽃을 당연히 장식용일 거라고 생각했던 것처럼.

그러나 도가 지나칠 정도로 식물의 모든 것을 먹으면서도 꽃만은 먹지 않았을 리 없는 일. 꽃에는 다량의 영양분이 함유돼 있고, 보기에도 좋으며 일부는 맛까지 좋기 때문에 학자들은 인류가 꽃을 먹어 온 역사는 식물 재배의 역사와 같을 것이라고 추측한다. 18세기 서양에서는 식용 꽃 붐이 일었으며, 우리나라에도 최초의 식용 꽃에 관한 기록이 삼국유사에 있다.
이미지 확대
대표적 여름꽃인 원추리 꽃잎에는 항산화 작용을 하는 베타카로틴이 풍부하다. 이 꽃의 약효는 ‘동의보감’, ‘본초강목’ 등에도 기록돼 있다. 유럽에서는 생으로 샐러드에 넣어 먹기도 한다.
대표적 여름꽃인 원추리 꽃잎에는 항산화 작용을 하는 베타카로틴이 풍부하다. 이 꽃의 약효는 ‘동의보감’, ‘본초강목’ 등에도 기록돼 있다. 유럽에서는 생으로 샐러드에 넣어 먹기도 한다.
오래전부터 꽃을 먹어 왔음에도 최근에 이와 관련한 연구가 더욱 활발해진 것은 식량 부족 문제 때문이다. 다채로운 꽃잎의 색은 컬러푸드의 영역을 확장하며, 꽃에는 잎에 부족한 다량의 비타민과 무기질이 함유돼 있다. 우리는 장미 꽃잎으로부터 비타민E를, 라벤더 꽃과 호박꽃으로부터 비타민A를 공급받을 수 있다. 그래서 꽃은 식량 부족이란 미래 과제의 해결 방안 중 하나로 제기된다.

역사적으로 가장 널리 식용 꽃으로 이용된 식물은 알뿌리식물인 크로커스다. 크로커스는 초봄에 꽃이 피는 화훼식물이지만, 이 중 가을에 피는 사티부스종만은 식용작물로 재배된다. 이 크로커스 꽃에 든 암술을 채취해 말린 것이 향신료 중 가장 비싸다는 사프란이다. 꽃에는 단 세 개의 암술이 있고, 이것을 말리면 양이 확 줄기 때문에 무게당 가격이 높을 수밖에 없다. 사프란은 음식에 특유의 감칠맛과 향기를 낸다.

조선의 농학자 서유구가 집필한 ‘임원경제지’에도 당시의 다양한 요리 레시피가 기록돼 있는데, 그중 꽃을 이용한 요리를 적잖게 찾아볼 수 있다. 원본이 일본에 있어 아직 연구가 완벽히 되진 않은 것으로 알려지지만, 매화를 넣은 매죽과 복숭아꽃을 술로 빚은 도화주, 치자꽃을 삭혀 만든 젓갈 등에 관한 기록이 있다.
이미지 확대
크로커스 중 사티부스종의 암술을 채취해 말린 것을 사프란이라고 한다. 사프란은 세계에서 가장 비싼 향신료 중 하나로 통한다.
크로커스 중 사티부스종의 암술을 채취해 말린 것을 사프란이라고 한다. 사프란은 세계에서 가장 비싼 향신료 중 하나로 통한다.
작년 이맘때 나는 원추리속 연구 발표회에 참여했다. 그날 참여자들에게 가장 인기가 좋았던 것은 주최 측에서 마련한 식사였다. 식사의 주인공은 원추리 꽃잎으로 만든 샐러드였는데, 색색의 고운 꽃잎이 접시 위에 있으니 보기 좋은 건 물론이고 식감이 아삭아삭해 은은한 꽃 향이 나는 양상추를 먹는 기분이었다. 원추리 꽃잎에는 항산화 작용을 돕고 피부 건강에 좋은 베타카로틴이 풍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나라에서는 팬지, 베고니아, 금잔화, 장미, 과꽃, 제라늄 등 20종 정도의 꽃이 식용작물로 재배된다. 최근에는 코로나19로 집에 있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사람들이 집 안에 화분이나 절화를 두고 식물을 즐기는 가정원예가 활발해지는 추세이기 때문에 식용 꽃 또한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사회적 거리두기로 외출을 삼가고, 언제나 과제였던 식량 부족 문제를 걱정해야 하는 흐름이 지속된다면 식사 시간 접시 안에 꽃 정원을 만들려는 사람은 더욱 많아질 것이다.

이런 이야기를 하면서도 한편 걱정되는 것은 혹여나 이 글을 읽는 독자들이 도시 화단이나 정원에 심은 식물을 먹기 위해 채취하진 않을까 하는 점이다. 화단 식물에 농약을 쳤거나 중금속이 함유돼 있을 수도 있기 때문에 어떠한 연유에서건 우리가 모르는 개체를 절대 채취해 먹어서는 안 된다. 그리고 식용 꽃을 먹고 알레르기 반응이나 위장 장애 반응이 생긴다면 즉시 섭취를 멈춰야 한다는 이야기를 마지막으로 전해야겠다.
2020-07-02 29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