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경기선행지수 2년 만에 100 회복
코로나 재확산 우려에 ‘개선’ 판단은 일러“경제 낙관” 韓 청년 늘어… 美·日·英 등 비관
코로나19 확산 여파로 국내 경기가 얼어붙은 가운데 지난달 한국의 경기선행지수(CLI)가 향후 경기팽창 가능성을 의미하는 수치인 100을 회복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유일하다.
29일 OECD에 따르면 지난달 우리나라의 경기선행지수는 2년 만에 수치 100을 회복했다. 이 지수는 기업경기전망, 주가, 자본재 재고, 재고순환, 장단기 금리차, 교역조건 등 6개 지표를 바탕으로 산출하는데 6~9개월 뒤 경기 방향성을 예측하는 데 쓰인다. 100 이상이 되면 경기팽창 가능성이 있다는 의미로 해석한다.
한편 한국의 청년층 사이에서는 코로나19 위기 속에서도 국내 경제 상황이 개선될 것이라고 보는 시각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딜로이트그룹이 이날 낸 ‘2020 글로벌 밀레니얼 서베이’를 보면 한국 밀레니얼 세대(1995~2002년생)와 Z세대(1983~1994년생) 300명은 지난 4~5월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향후 경제 상황이 개선될지 묻는 질문에 27%가 낙관적으로 본다고 답했다. 반면 미국과 중국, 일본, 영국 등 11개국 청년층(1983~2002년생)은 같은 시기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자국 경제 상황을 비관적으로 전망하는 시각이 늘었다.
세종 나상현 기자 greentea@seoul.co.kr
서울 유대근 기자 dynamic@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