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문화마당] 노하우 출판의 세계가 열리다/장은수 편집문화실험실 대표

[문화마당] 노하우 출판의 세계가 열리다/장은수 편집문화실험실 대표

입력 2020-06-03 17:52
업데이트 2020-06-04 13: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장은수 편집문화실험실 대표
장은수 편집문화실험실 대표
“PDF 판매가 유행이다.”

얼마 전 퍼스널 브랜딩 전문가인 김인숙 비스타 대표 페이스북 피드에서 읽었다. 대학 입시나 수험 시장에서는 예부터 흔했다. ‘인강’ 강사들이 교재를 종이 제본해 배송 판매하거나 학생이 직접 출력할 수 있도록 PDF 형태로 팔곤 했다. 상거래는 일종의 습관이 지배한다. 현실에 일단 관행이 하나 자리잡으면 쉽게 비슷한 영역으로 퍼져 나간다.

종이책은 충분히 검증된 지식을 다룬다. 인쇄 기술의 특성 탓이다. 일단 종이에 고정된 지식은 고치기 어렵다. 인쇄 후 오류가 발견되더라도 정오표를 갈피에 끼우거나, 교정 내용을 잘못된 자리에 덧붙이는 수밖에 없다. 지식을 엄밀히 선별한 후 여러 차례 교정을 거쳐 출판된다. 디자인과 물성을 통한 차별화가 필수다. 종이책에 대한 깊은 신뢰와 높은 호감은 이로부터 나온다.

생산과 유통에 비용이 적지 않게 들어가므로 종이책은 일정 숫자 이상의 독자가 없으면 출판될 수 없다. 지나치게 전문적이거나, 너무나 사적인 취향에 쏠려 있거나, 객관적 검증이 부족하거나, 분량이 충분하지 않거나, 단기간 유효한 정보는 종이책의 대상이 아니다. 그러나 정보 혁명은 모든 것을 바꾸었다. 현재 우리는 다양한 형태의 출판이 폭발하는 것을 목도 중이다. 지식 생산의 편이성은 높아지고 유통 관련 비용은 낮아지면서 웹툰, 웹소설에 이어 노하우형 지식을 PDF 자료 같은 전자파일 형식으로 개인 간 직접 사고파는 ‘지식 출판 시장’이 발돋움하고 있다.

이 시장의 콘텐츠 생산자들이 리디북스, 밀리의 서재 등 기존 전자책 서점을 판매 플랫폼으로 이용하는 경우는 드문 듯하다. 유튜브, 브런치,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홈페이지 등을 통해 독자들과 꾸준히 접촉하면서 신뢰나 평판 같은 ‘연결 가치’를 확보한 후, 이메일 등을 통해 직접 판매에 나서는 경우가 상당하다. 콘텐츠 단독으로 판매하기도 하지만 상담이나 강의 등 복합형 콘텐츠로 흔히 판매한다. 이들이 크몽, 탈잉, 해피칼리지 등 ‘프리랜서 마켓 플랫폼’을 많이 이용하는 이유다.

전문가들의 재능이나 기술, 능력이나 노하우를 단기간 사고파는 이른바 ‘재능 시장’은 최근 몇 해 동안 서서히 성장했다. 크몽의 경우 2016년 11월 100억원이었던 누적 거래액이 2019년 10월 1000억원을 넘었고, 300명 정도는 연 3000만원 이상 수입을 올린다. PDF 콘텐츠를 팔아 단기간 1000만원 가까운 수입을 올렸다는 소식도 들려온다. 종이책이라면 평균 7000부에 해당하는 상당한 수치다.

PDF 출판 시장에서는 충분히 사회화되지 않은 지식도 상관없다. 유용한 통찰이 담겨 있다면 작은 오류쯤은 중시하지 않는다. 내용을 언제든 갱신할 수 있어서다. 분량은 보통 15~50쪽 정도, 가격은 보통 1만 2000~2만원 사이로 종이책보다 분량은 적고 가격은 비싼 편이다. 고도의 전문지식을 담으면 5만원을 훌쩍 넘긴다. 편집이나 디자인에 신경 쓰지 않은 ‘날 콘텐츠’가 많다. 대신 종이책의 범용 지식에서는 잘 건드리지 않는 가려운 부분을 상세한 해설로 긁어 주는 족집게 지식이 흔하다. 무엇보다 필요한 지식을, 필요한 순간에, 필요한 형태로, 빨리 출판하는 것이 중요해 보인다. 주변 전문가들 반응도 나쁘지는 않다. 신속한 학습 능력, 탁월한 정리 기술, 일정한 글 솜씨가 필요하지만 누구나 자기가 좋아하는 분야에서 이런저런 노하우를 획득하는 법 아닌가.

출판이 지식을 책으로 만드는 제조이고, 저자와 독자를 연결하는 작업이며, 궁극적으로 읽기를 판매하는 사업이라면, 우리는 초연결사회에 맞추어 진화한 또 하나의 출판이 등장하는 것을 보는 중일지 모른다.
2020-06-04 30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