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원격근무·1인 가구 많은 스웨덴…학교·카페 운영 그대로

원격근무·1인 가구 많은 스웨덴…학교·카페 운영 그대로

안석 기자
안석 기자
입력 2020-03-29 21:52
업데이트 2020-03-30 01: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유럽 통제 속 ‘느슨한’ 스웨덴 왜

스톡홀름 직장인 중 절반이 원격근무
1인 가구 비중 50%… 가족 전염 적어
BBC “사회적 거리두기 생활화” 분석
105명 사망… 50명 이상 모임 금지령
伊사망 1만여명… 전세계 3분의1 달해
이미지 확대
일상 즐기는 스웨덴
일상 즐기는 스웨덴 코로나19 확산 억제를 위해 각국이 상점을 폐쇄하고 도시를 봉쇄하는 가운데 지난 27일(현지시간) 스웨덴 스톡홀름의 한 식당에서 손님들이 평소와 다름없이 저녁식사를 하고 있다.
스톡홀름 AFP 연합뉴스
전 세계 코로나19 감염 확산으로 유럽 각국이 국경 봉쇄와 이동제한령 등을 강제하고 있는 가운데 스웨덴의 ‘느슨한 조치’가 눈길을 끌고 있다.

원격근무 활성화와 높은 1인 가구 비중 등 ‘사회적 거리두기’가 생활화된 덕분에 스웨덴 정부가 다른 유럽국가들과 달리 유연한 정책으로 코로나19에 대응하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BBC는 28일(현지시간) 원격근무를 장려하는 스웨덴의 기업문화 등이 다른 유럽국가와 다른 코로나19 대책이 가능한 이유라고 보도했다. 유연근무와 원격근무가 가능한 기술력과 기업문화가 널리 퍼져 있으며, 수도 스톡홀름 직장인 가운데 절반이 원격근무를 하고 있다는 여론조사 결과도 있다는 설명이다. 실제 스톡홀름에는 스포티파이와 스카이프 등 기업가치 10억 달러(약 1조 2200억원) 이상인 ‘유니콘’ 기업이 소재하는 등 세계에서 창업생태계가 가장 활발한 도시로 꼽힌다.

나아가 정부에 대한 국민 신뢰도가 높기 때문에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을 따르고 있다는 시각도 있다. 스테판 뢰벤 총리가 지난 주말 TV 연설에서 강조한 것도 “시민 각자에게 무거운 책임감이 있다”는 메시지였다. 1인 가구가 많은 스웨덴의 인구통계학적 특징 때문이라는 관점도 있다. BBC는 “대가족 위주인 지중해 국가들과 달리 스웨덴 가정의 절반이 1인 가구로 이뤄져 가족 내 바이러스 확산의 위험이 적다”고 분석했다.
이미지 확대
전시같은 스페인
전시같은 스페인 국가 봉쇄에 들어간 스페인의 마드리드 바라하스 공항 버스 승강장이 29일 텅 비어 있는 모습.
마드리드 EPA 연합뉴스
물론 스웨덴도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의 위협에서 자유롭지는 않다. 미 존스홉킨스대 코로나19 통계에 따르면 스웨덴 내 확진자는 3069명, 사망자는 105명이다. 이 때문에 지금까지 500명을 초과하는 모임을 금지했던 스웨덴 정부는 29일부터 50명 이상 모임을 금지하도록 대책을 강화했다. 수위가 높아지기는 했지만, 2인 이상 금지(영국)나 3인 이상 금지(독일, 오스트리아) 등 권위주의 시대에나 볼 법한 이웃국가들의 대응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약한 대응이다. 필수업종을 제외하고 영업을 전면 금지한 이웃 국가와 달리 스웨덴에서는 여전히 학교와 식당, 카페 등의 일상적인 운영이 가능하다.

반면 정부가 더 강한 대책을 강제해야 한다는 시각도 있다. 스웨덴 의대 카롤린스카 연구소의 에마 프린스 박사는 “스웨덴 사람들이 정부 권고를 잘 따른다고는 하지만, 현재 같은 위급한 상황에서는 그것만으로 충분하다고 확신할 수는 없다”고 지적했다.

이는 다른 유럽 주요국들의 코로나19 확산 상황이 삼엄하기 때문이다. 29일 오전 4시 30분 현재 이탈리아의 코로나19 사망자가 1만 23명으로 전 세계 사망자(3만 249명) 가운데 3분의1에 달했고, 스페인이 5812명으로 그 뒤를 이었다. AFP통신은 자체 집계에 따라 전 세계 사망자 3만 3명 가운데 3분의2가 넘는 2만 1334명의 사망자가 유럽에서 나왔다고 전하기도 했다. 이탈리아의 확진자는 9만 2472명으로 미국(11만 5547명)에 이어 두 번째로 많았고, 스페인(7만 2248명)과 독일(5만 6202명) 등도 확산세가 꺾이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프랑스와 벨기에가 현 이동제한령을 다음달 중순 이후까지 연장한다고 발표하는 등 각국 정부는 대응 수위를 높였다.

안석 기자 sartori@seoul.co.kr
2020-03-30 10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위기 당신의 생각은?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 발표 후 의료계와 강대강 대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료인력 공백이 장기화하면서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의료공백 위기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어떤가요.
의료계 책임이다
정부 책임이다
의료계와 정부 모두 책임있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