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WHO “韓, 코로나 대응 교과서”… 伊·중남미, 한국식 방역 따른다

WHO “韓, 코로나 대응 교과서”… 伊·중남미, 한국식 방역 따른다

류지영 기자
류지영, 김태균 기자
입력 2020-03-22 17:54
업데이트 2020-03-22 21: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감염자와 접촉자 추적·검사로 신속 격리

이미지 확대
‘드라이브스루’ 검사 시행하는 이탈리아 의료진
‘드라이브스루’ 검사 시행하는 이탈리아 의료진 이탈리아 볼로냐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드라이브스루’ 선별진료소에서 18일(현지시간) 의료진이 차량 운전자 검체를 채취하고 있다.볼로냐 AP=연합뉴스 2020-03-19 14:45:09/ <연합뉴스
국경·지역 봉쇄 없이도 확산세 진정시켜
확산세 정점 伊 “한국식 모델 연구팀 가동”
아르헨티나·멕시코 등 대응법 공유 요청
日언론도 적극적 검사·생활치료센터 호평


전 세계에서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할 조짐을 보이자 각국이 한국식 방역 모델 채택을 서두르고 있다. 홍콩이나 싱가포르 같은 소규모 도시국가(지역)가 아님에도 국경·지역 봉쇄 없이 바이러스 확산세를 진정시킨 한국의 노하우를 활용하기 위해서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도 우리의 대응을 “교과서 같은 우수사례”로 꼽았다.

21일(현지시간) 이탈리아 일간 라레푸블리카에 따르면 월터 리치아르디 이탈리아 보건부 자문관은 “한국 대응 모델의 세부 방식을 연구하고자 (정부 차원에서) 스터디 그룹을 가동했다”고 밝혔다. WHO 이사회 일원이기도 한 리치아르디는 “최근 며칠간 한국의 코로나19 관련 그래픽을 비교·분석해 왔다. 한국의 대응 전략을 따라야 한다는 확신이 든다”면서 “보건 장관의 동의를 구해 이탈리아도 이를 채택해야 한다고 제안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우리나라는 감염자와 접촉한 이들을 추적해 감염 여부 검사를 실시한다. 검사에서 양성 반응을 보이면 곧바로 격리해 확산을 최소화한다. 스마트폰 위치추적과 신용카드 사용 내역, 폐쇄회로(CC)TV 등이 동선 확인에 총동원된다. 누구나 휴대전화 애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신규 확진환자의 동선을 파악할 수 있어 같은 장소에 있던 이들이 검사를 받을 수 있게 했다. 코로나19 확산세가 정점에 놓인 이탈리아에서는 이날 오후 현재 누적 확진환자 5만 3578명, 사망자는 4825명에 달한다. 국가기능이 사실상 마비된 상황에서 감염자를 접촉한 이를 추적해 신속하게 격리 여부를 결정하는 한국 방식이 유일한 위기 탈출 해법이라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세계에서 가장 늦게 코로나19 위기가 시작된 중남미에서도 한국의 대응법 공유를 요청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20일(현지시간) 아르헨티나 텔람통신은 한국과 아르헨티나 정부 관계자들이 화상회의를 통해 코로나19 대응법을 공유했다고 전하며 “한국은 코로나19 발병의 영향을 통제하는 데 성공했다”고 보도했다. 멕시코와 칠레에서도 한국 대사관을 통해 정보 공유를 요청했다. 중남미는 지난달 말 첫 확진환자가 나오면서 코로나19의 영향권에 들어왔다. 최근 감염자 수가 3000명을 넘어서며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일본 언론 역시 한국의 코로나19 대응 의료체계를 높이 평가했다. 아사히신문은 22일 특집기사를 통해 “한국의 코로나19 검사 건수는 지난 21일 기준으로 일본의 8배가 넘는 약 30만건에 이른다”며 이것이 가능한 이유를 조명했다. 아사히는 “한국 정부는 올 1월 중국 내 감염 확산을 보면서 승인되지 않은 의료기기라도 일시적으로 유통시킬 수 있는 특례제도를 도입하고 민간기업에 검사 키트 개발을 요청했다”고 전했다. 교도통신도 지난 21일 ‘코로나19 검사 31만건, 의료체계 붕괴 안 돼’라는 제목의 서울발 기사에서 “지금까지 약 8800명의 감염이 확인된 한국에서 경증자를 머물게 하는 ‘생활치료센터’가 의료체계 붕괴를 막아 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 류지영 기자 superryu@seoul.co.kr

도쿄 김태균 특파원 windsea@seoul.co.kr
2020-03-23 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