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보물’ 된 1500년 전 가야도기는 어떤 모습이었나

‘보물’ 된 1500년 전 가야도기는 어떤 모습이었나

이순녀 기자
이순녀 기자
입력 2020-02-27 15:25
업데이트 2020-02-27 15: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부여 무량사 오층석탑에서 나온 금동불상. 문화재청 제공
부여 무량사 오층석탑에서 나온 금동불상.
문화재청 제공
부산 복천동 고분에서 온전한 형태로 출토된 1500년 전 가야 도기가 보물이 됐다.

문화재청은 27일 ‘부산 복천동 11호분 출토 도기 거북장식 원통형 기대 및 단경호’와 부여 무량사 오층석탑 불상 4점, 함경도 주요 요충지를 그린 조선시대 지도 ‘관북여지도’를 각각 보물로 지정했다고 밝혔다.

부산 복천동 11호분은 1980년 부산대 박물관이 발굴한 석실분으로, 5세기 가야 세력의 수장급 인물 무덤으로 추정된다. 가야 고분 중에서 보기 드물게 도굴되지 않은 형태로 발굴됐다. 이곳에서 출토된 가야 도기는 원통형 그릇받침인 기대(器臺)와 짧은목항아리인 단경호가 온전한 형태를 유지한 데다 기대 중앙부에 부착한 거북이 토우(土偶)의 조형성과 세련된 문양 표현 등 가야시대를 대표할 만한 학술적·예술적 가치를 지닌 것으로 평가됐다. 삼국시대 토우 중 거북이 토우가 붙어 있는 것은 유일하다. 가야 도기의 특징과 삼국시대 토기가 도기로 넘어가는 기술적 성과를 엿볼 수 있다.
이미지 확대
부산 복천동 11호분에서 출토된 도기, 거북장식 원통형 기대(받침)와 짧은목항아리 단경호. 문화재청 제공
부산 복천동 11호분에서 출토된 도기, 거북장식 원통형 기대(받침)와 짧은목항아리 단경호.
문화재청 제공
‘부여 무량사 오층석탑 출토 금동불상 일괄’은 1971년 8월 석탑 해체 수리 과정에서 발견됐다. 탑신 1층에서는 아미타여래좌상, 관음보살좌상, 지장보살좌상으로 이뤄진 조선 초기 금동아미타여래삼존좌상 3점이 나왔고, 2층에서 고려시대 금동보살좌상이 나타났다. 조선시대 불상은 구성과 도상이 온전하며 당대의 뚜렷한 양식적 특징을 지녔고, 고려 불상은 발견 장소와 제작 시기가 명확해 고려 전·중기 불교조각사 규명에 크게 기여할 작품으로 보물 지정 가치가 충분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관북여지도’(關北輿地圖)는 조선시대 관북 지방인 함경도 마을과 군사적 요충지를 13면에 걸쳐 그린 지도집이다. 지리적 내용과 표현 방식 등으로 미뤄 1738~1753년(영조 14~31년) 사이에 제작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문화재청이 2007~2008년 옛 지도 일괄 공모를 거쳐 고려~조선 시대에 이르는 역대 지도 35점을 보물로 지정한 이후 처음으로 국가지정 문화재로서 가치를 평가받은 고지도다.
이미지 확대
조선의 지도, 관북여지도. 문화재청 제공
조선의 지도, 관북여지도.
문화재청 제공
‘관북여지도’는 특히 현존하는 북방 군현(郡縣) 지도 중 정밀도와 완성도가 뛰어나고 보존 상태도 매우 좋은 상태다. 봉수 간의 거리 등을 상세하게 기록한 점, 봉화의 신호법 등을 자세하게 표시했다는 점에서 조선시대 지도 발달사를 잘 보여 주고 있으며, 국내외 현존하는 약 8점의 관북여지도 중 가장 우수한 작품으로 꼽힌다. ‘관북여지도’는 함경도 병마절도사를 지낸 조선 후기 무신 이삼(1677∼1735)이 1719년에 지시해 만든 지도집을 계승했다. 조선과 청나라가 1712년 국경을 정하면서 함경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상황이 반영됐다는 해석이 있다. 지도에 회화적인 기법을 적용한 점도 특색이다.

이순녀 선임기자 coral@seoul.co.kr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