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139년 품은 음악 마법에 빠져보세요”

“139년 품은 음악 마법에 빠져보세요”

박성국 기자
박성국 기자
입력 2020-01-28 17:56
업데이트 2020-01-29 02: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휘자 안드리스 넬손스, 보스턴 심포니와 새달 6~7일 첫 내한

이미지 확대
미국을 대표하는 악단 보스턴 심포니 오케스트라를 지휘하고 있는 음악감독 안드리스 넬손스. 빈체로 제공
미국을 대표하는 악단 보스턴 심포니 오케스트라를 지휘하고 있는 음악감독 안드리스 넬손스.
빈체로 제공
“드디어 한국을 방문할 수 있다니! 매우 기대하고 있습니다.”

세계적 클래식 명장이 보내온 이메일에는 첫 한국 방문에 대한 기대감과 흥분이 곳곳에서 느껴졌다. 지난해 11월 타계한 마에스트로 마리스 얀손스의 유일한 제자이자 그의 위치를 이어 갈 지휘자로 조명받고 있는 지휘자 안드리스 넬손스(42)가 한국 클래식 무대에 오른다. 그가 이끌고 오는 악단은 자신이 음악감독으로 있는 보스턴 심포니 오케스트라. 한국과는 연이 닿지 않았던 지휘자와 악단이 함께 한국을 찾는다. 다음달 6~7일 서울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보스턴 심포니의 첫 한국 공연을 지휘할 넬손스를 서면으로 먼저 만났다.

1881년 창단한 보스턴 심포니는 시카고 심포니, 뉴욕필하모닉, 필라델피아, 클리블랜드 오케스트라와 함께 미국의 주요 악단으로 꼽히지만, 유일하게 한국 방문 공연이 없었다. 1960년 아시아 투어 중 한국 공연이 예정됐으나, 당시 4·19혁명으로 한국 정세가 급변하면서 공연 일주일 전 취소됐고 이후 60년간 방한 소식은 없었다.

2014년부터 보스턴 심포니 음악감독을 맡은 넬손스도 애초 2010년 10월 버밍엄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함께 서울 공연이 예정됐지만, 당시 영국 파운드화 위기 영향으로 오케스트라 재정 상황도 악화되면서 아시아 투어를 취소했다. 넬손스는 이와 관련해 “너무 아쉬웠다. 그래서인지 이번 연주에서 한국 관객들과 처음 만나고 한국의 문화를 며칠이나마 경험할 수 있어서 모든 단원들은 아주 큰 기대를 갖고 있다”면서 “139년 보스턴 심포니 음악의 역사를 한국 관객들에게 보여 줘야 한다는 책임감도 느낀다”고 했다.

이어 “한국의 클래식 공연 현장 분위기는 매우 활기차다고 들었는데, 이번에 처음 직접 경험할 수 있게 됐다”면서 “수년간 한국의 훌륭한 뮤지션들과 함께 일하면서 그들의 뛰어난 실력에 감탄하곤 했는데, 그 실력이 고향의 문화에 대한 증거라고 확신한다”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스승 얀손스와 같은 라트비아 출신인 넬손스는 보스턴 심포니와 함께 성장하며 수차례 그래미상을 수상했고, 올해는 전 세계로 중계되는 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신년음악회를 이끌었다. 영화감독 박찬욱은 지난해 한 인터뷰에서 런던에서 넬손스의 음악회를 직접 본 일화를 소개하며 “완전히 얼이 빠져버렸다. 음악영화를 해 보고 싶은 생각도 들었다”고 말하기도 했다.

넬손스와 보스턴 심포니는 이번 서울 공연에서 바르토크 관현악을 위한 협주곡,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24번, 라벨의 다프니스와 클로에 모음곡 2번(6일)과 바버 메데아의 명상과 복수의 춤,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4번, 드보르자크 교향곡 9번 ‘신세계로부터’(7일)를 각각 연주한다. 지난해 11월 빈 필하모닉의 대구 공연을 함께했던 피아니스트 예핌 브론프만도 14년 만에 협연자로 서울을 찾는다.

넬손스는 “오케스트라와 투어를 다닐 때에는 최대한 단원들의 실력을 드러낼 수 있는 작품을 선택하려고 노력하고, 협연자가 있으면 협연자가 빛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도 중요하게 생각한다”면서 “우리 오케스트라를 사랑해 주시는 모든 분들이 두 공연 모두 참석해 우리의 다양한 음악성을 발견했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고 프로그램 구성 배경을 설명했다.

그는 음악과 악단, 관객에 대한 애정이 묻어나는 말로 인터뷰를 마무리했다. “보스턴 심포니와 같은 세계적인 오케스트라는 말로 표현할 수 없는 마법의 수준이 있어요. 굳이 말로 설명하지 않아도 서로에 대한 이해가 형성되는 단계죠. 저는 연주자들의 능력을 믿고, 연주자들은 저를 믿고 있습니다. 이런 마법 같은 분위기 속에서 만든 아름다운 음악을 들려드릴 겁니다.”

박성국 기자 psk@seoul.co.kr
2020-01-29 26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