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아우슈비츠에서 태어난 저, 해방 75주년 맞아 다시 찾은 이유”

“아우슈비츠에서 태어난 저, 해방 75주년 맞아 다시 찾은 이유”

임병선 기자
입력 2020-01-28 05:15
업데이트 2020-01-28 07: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폴란드 아우슈비츠 강제수용소에서 태어난 앙겔라 오로츠 라이트가 해방 75주년을 하루 앞둔 26일(현지시간) 유대인 학교 학생들과 수용소 현장을 찾아 자신의 어머니 얘기를 들려주고 있다. 오슈비엥침 AFP 연합뉴스
폴란드 아우슈비츠 강제수용소에서 태어난 앙겔라 오로츠 라이트가 해방 75주년을 하루 앞둔 26일(현지시간) 유대인 학교 학생들과 수용소 현장을 찾아 자신의 어머니 얘기를 들려주고 있다.
오슈비엥침 AFP 연합뉴스
제가 어머니 뱃속에서 3개월이 됐을 때 어머니는 조국 헝가리에서 나치 독일에 의해 강제로 아우슈비츠 강제수용소로 보내졌지요. 어머니가 워낙 심각한 영양 실조라 간수들도 어머니가 임신했는지 눈치채지 못했답니다. 임신 3개월 때도, 9개월 때도 별반 달라 보이지 않았대요.제가 태어났을 때 몸무게는 453g 밖에 되지 않았답니다.

전 앙겔라 오로츠 라이트라고 하고요, 제 생일은 1944년 12월 21일(이하 현지시간))입니다. 이제 75세가 됐어요. 아우슈비츠가 옛 소비에트 군대에 의해 해방된 것이 이듬해 1월 27일이었으니 한달 조금 넘게 수용소에서 살았어요. 지금은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살고 있어요.

27일 폴란드의 아우슈비츠 수용소 해방 75주년 기념 행사에 초대돼 다시 이곳을 찾은 200명의 생존자 가운데 한 명이랍니다. 널리 알려진 대로 유럽에서 600만명 정도의 유대인이 홀로코스트 대학살에 희생됐는데 그 중 110만명이 이곳 아우슈비츠에서 목숨을 잃었어요.

대서양을 사이에 두고 아메리카와 유럽 모두 반유대 혐오 발언이나 폭력이 급증하고 있어요. 전 그게 모두 한때의 일이었다고 안심하고 있었어요. 하지만 이제 상황이 심각해지고 있어요. 해서 제가 여기 와야겠다고 결심하게 됐어요. 제 믿기지 않는 얘기가 교훈이든 경고든 통할 것이라고 믿으면서요.

어머니는 1944년 5월 25일 수용소에 처음 끌려왔는데 저 악명 높은 조지프 멩겔레 박사가 있는 막사에서 생활했대요. 그는 죽음의 천사로 불렸고, 쌍둥이들을 데리고 실험한 것으로 악명 높지요. 어머니는 임신한 사실을 끝끝내 숨겨 극심한 영양실조에도 온갖 노역을 다 해냈대요. 절 감추기 위해 모든 종이를 끄러 모아 가렸대요. AFP 통신과 인터뷰하면서도 제가 철조망 담장과 붉은 벽돌 막사 옆을 빠르게 걷는 것도 다 두려움 때문이지요.

어머니의 가장 큰 두려움은 밖에 나가거나 점호에 임했을 때 쥐들이 절 먹어버릴까 걱정하셨대요. 기적처럼 제 젖을 물리셨어요. 물 밖에 마시지 않으니 젖이 나올 리가 없는데 말이죠.

유럽에서 가장 큰 유대인 공동체가 있는 프랑스에서는 전년에 비해 2018년에 경찰에 신고된 반유대 공격 행위가 74%나 급증했답니다.

저도 손자들을 키우는데 손자들이 정말로 걱정돼요. 증손주들도 있는데 내가 여기 나와 우리 어머니 얘기를 해야겠다고 결심한 이유이기도 해요. 어쩌면 그네들이 뭔가 배웠으면 좋겠네요. 교육은 우리가 반유대주의와 싸우기 위해 가장 중요한 일이라고 생각하거든요. 우리 얘기를 듣는 아이들 가운데 단 한 명이라도 집에 돌아가 ‘이봐, 홀로코스트란 게 있었대. 난 생존자랑도 얘기해봤어. 그녀가 거기 있었다대. 그녀가 거기를 빠져나왔다더군’이라고, 한 꼬마라도 집에 가 그렇게 얘기하면 우리는 승리한 거라고요.

임병선 기자 bsn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