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성전환 변희수 하사 “성 정체성 떠나 최전방에서 나라 지키고 싶어”

성전환 변희수 하사 “성 정체성 떠나 최전방에서 나라 지키고 싶어”

김정화 기자
입력 2020-01-22 20:07
업데이트 2020-01-22 20: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군복무 중 남성에서 여성으로 성전환 수술을 한 육군 6군단 5기갑여단 소속 변희수 하사가 22일 서울 마포구 군인권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눈물을 흘리며 거수경례를 하고 있다. 육군은 이날 변 하사에 대한 강제 전역을 결정했다. 연합뉴스
군복무 중 남성에서 여성으로 성전환 수술을 한 육군 6군단 5기갑여단 소속 변희수 하사가 22일 서울 마포구 군인권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눈물을 흘리며 거수경례를 하고 있다. 육군은 이날 변 하사에 대한 강제 전역을 결정했다. 연합뉴스
“제 이름은 6군단 5기갑여단 하사 변희수입니다. 저는 군으로 돌아가는 그날까지 싸울 겁니다.”

국군 창설 이래 처음으로 복무 중 남성에서 여성으로 성전환 수술을 받은 트랜스젠더 군인 변희수(22) 육군 하사의 목소리는 내내 울음이 섞여 떨렸다. 22일 육군은 “군인사법 등에 따라 계속 복무할 수 없는 사유에 해당한다”면서 강제 전역 결정을 내렸지만, 변 하사는 “성 정체성을 떠나 최전방에서 나라를 지키는 군인으로 남고 싶다”며 끝까지 싸우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날 시민단체 군인권센터가 연 기자회견에 군복을 입고 참석한 변 하사는 얼굴과 소속을 모두 공개하고 “저를 포함한 모든 성소수자 군인이 차별받지 않는 환경에서 각자 임무를 수행하면 좋겠다”며 눈물을 흘렸다.

변 하사에게 군인이라는 직업은 어릴 때부터의 간절한 꿈이다. 그는 “10대 시절 독도 문제 관련 일본 규탄 집회, 북한 인권 집회 등에 참석하면서 조국을 위해 희생하고 싶다는 꿈이 생겼다”고 말했다. 집 근처 인문계고 진학을 거부하고 고향에서 멀리 떨어진 전남 장성의 부사관 특성화고로 간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

하지만 마음속 깊은 곳은 늘 어지러웠다. 머리로는 여성이라고 느끼지만, 신체는 남성인 자신의 성 정체성 때문이다. 변 하사는 “군인이 되고 싶다는 마음 하나로 남성들과의 기숙사 생활, 가혹한 부사관 학교 과정을 겨우 거쳤다”면서 “마침내 2017년 부사관으로 임관해 꿈을 이뤘는데도 혼란한 마음은 가라앉지 않았다”고 말했다.

꾸역꾸역 눌러오던 마음은 폭발 직전에 이르렀다. 복무 이후 줄곧 극심한 우울증과 스트레스를 겪던 변 하사는 결국 2018년 4월부터 국군수도병원에서 정신과 진료를 받았다. 그가 받은 진단은 ‘성별 불쾌감’(젠더 디스포리아). 자신이 다른 성으로 잘못 태어났다고 느끼는 상태라는 뜻이다.

군인권센터 임태훈 소장은 “젠더 디스포리아는 자신이 원하는 성으로 살 수 없다는 생각 때문에 엄청난 스트레스를 동반한다”면서 “정신과 상담뿐 아니라 외과 수술로 완전히 성을 바꿔야만 극복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사진은 지난 2018년 9월 6일 서울 용산구 국방컨벤션에서 열린 68주년 여군 창설 기념 ‘국방여성 리더십 발전 워크숍’ 참석자들이 국기에 대한 경례를 하고 있는 모습. 2018.9.6 연합뉴스 자료사진
사진은 지난 2018년 9월 6일 서울 용산구 국방컨벤션에서 열린 68주년 여군 창설 기념 ‘국방여성 리더십 발전 워크숍’ 참석자들이 국기에 대한 경례를 하고 있는 모습. 2018.9.6 연합뉴스 자료사진
폐쇄병동을 쓸 정도로 젠더 디스포리아로 인한 증세가 심각했던 변 하사는 결국 호르몬 치료를 받으며 수술까지 결심했다. 그는 “수도병원에서 치료와 상담을 받으면서 ‘마음에 있던 짐을 쌓아두지 말고 적극적으로 해결하라’는 조언을 들었다”면서 “계속 억눌러둔 마음을 똑바로 마주보고, 성별 정정 과정을 거치겠다고 마음먹었다”고 말했다.

하지만 군은 여군으로서 끝까지 복무하고 싶다는 그의 희망을 산산조각냈다. 변 하사는 “아침에 전역심사위원회에 갈 때만 해도 ‘설마’하는 마음뿐이었다. 심사를 받은 뒤에도 군을 믿었다”면서 “갑작스럽게 전역 결정이 나면서 그동안 동고동락했던 동료들에게 인사조차 제대로 하지 못했다”며 울먹였다.

그는 “전역심사위 결정 이후 주임원사가 전화해 ‘지켜주지 못해서 미안하다’고 하더라”면서 “소속 여단에서도 제가 계속 복무하는 게 적합하는 답변까지 올린 것으로 안다. 그런데도 육군 본부는 성전환자에 대한 고민 없이 단순히 신체 훼손 기준으로만 전역 심사를 했다”고 말했다.

이어 “임관할 때만 해도 병사들이 휴대폰 쓰는 건 상상도 못했는데, 지금은 스마트폰 사용은 물론이고 영창 제도까지 완전히 사라질 수도 있다”면서 “제가 사랑하는 군은 계속해서 인권 존중하는 곳으로 진보해나가고 있다. 미약한 개인이지만 인권 친화적인 군으로 바뀌어가는 이 변화에 보탬이 되고싶다”고 말했다.

군대 내 다른 성소수자들에게 하고 싶은 말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변 하사가 고른 대답은 시의 한 구절이었다. 독일 마르틴 니묄러 목사가 썼다고 추정되는 것으로, 나치가 특정 집단을 하나씩 제거할 때 침묵한 지식인들에 대해 비판한 시의 전문은 이렇다.

“나치가 공산주의자들을 덮쳤을 때, 나는 침묵했다. 나는 공산주의자가 아니었다/ 그들이 사회민주당원들을 가두었을 때, 나는 침묵했다. 나는 사회민주당원이 아니었다/ 그들이 노동조합원들을 덮쳤을 때, 나는 대항하지 않았다. 나는 노동조합원이 아니었다/ 그들이 유대인들을 덮쳤을 때, 나는 침묵했다. 나는 유대인이 아니었다/ 그들이 나를 덮쳤을 때, 더는 없었다 아무도. 대항할 수 있는 자가.”

김정화 기자 clean@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