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경우의 언파만파] ‘방귀 뀐 놈이 성내는’ 문법

[이경우의 언파만파] ‘방귀 뀐 놈이 성내는’ 문법

이경우 기자
입력 2020-01-19 22:42
업데이트 2020-01-20 01: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어쩌다 아내가 내 발을 밟았다. 난 장난을 섞어서 “아얏. 왜 밟고 그래”라고 했다. “미안”이라는 말이 돌아올 줄 알았다. 그런데 웬걸.

“왜 밟히고 그래.”

“아니, 뭐라구?”

“왜 밟히냐고!”

적반하장이고, 방귀 뀐 놈이 성내는 격이었다. ‘왜 밟고 그래’에서 ‘밟는’의 주어는 ‘아내’이고, ‘왜 밟히냐고’에서 ‘밟히는’의 주어는 ‘나’가 된다. 사건을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주어가 달라졌고, 서술어의 형태가 변했다. 이와 동시에 ‘가해자’와 ‘피해자’도 바뀌어 버렸다. ‘나’가 잘못한 가해자가 된 것이다. 문장의 주체를 어떻게 드러내느냐에 따라 진실은 이처럼 쉽게 변한다. 사건에 대한 이해와 태도에 차이를 가져오거나 사실을 비틀어 버리기도 한다.

물건이나 상품의 가격은 스스로 오르지 않는다. 누군가가 올린다. 그럼에도 우리는 항상 상품이 스스로 오르는 것처럼 말한다. 파는 사람도, 사는 사람도 똑같이 가격이 ‘올랐다’고 한다. 한 봉지에 2000원 하던 콩나물값을 2500원으로 올렸을 때 가게 주인은 언제나 ‘올랐다’고 한다. ‘올렸다’고 하지 않는다. ‘올린’ 책임에서 벗어나고, 손님들의 눈총도 피하고 싶었을 것이다. 소비자는 무심코 판매자의 말을 그대로 따른다. 무의식적으로 ‘값이 올랐다’고 하며 다른 곳에 옮기기까지 한다. 그 순간부터 ‘오르다’는 되돌리기 어려운 ‘사실’이 되고 ‘진실’이 되고 만다. 그런데 이것은 애초 파는 쪽에서 의도적으로 만들어 놓은 형식일 가능성이 높다.

덩치가 큰 가전제품이나 자동차 가격에 대해선 더욱 그렇다. 가격을 올린 주체는 좀처럼 모습을 드러내지 않는다. 대신 ‘가격’이 주어가 된다. 당연히 서술어로는 ‘오르다’가 온다. 숨은 주체는 이런 구조의 문장만을 유통시키려 한다. 이 사실을 전하는 매체들도 이 구조를 그대로 따른다. ‘새 제품 가격이 100만원 올랐다’는 식이다. ‘올렸다’고 하면 다른 의도가 있다고 의심할지도 모른다. 판매자의 목소리는 크고 무섭다.

2018년 5월 이스라엘군이 가자지구의 팔레스타인 사람들에게 발포해 60여명이 죽었다. 사건 직후 미국의 뉴욕타임스는 ‘팔레스타인인 수십명이 주이스라엘 미국대사관 개관 계획에 항의하다 죽었다’는 트윗을 올렸다. 폭발적인 댓글이 이어졌다. “늙어서 죽었다는 말이냐?” ‘뭣이 중헌디’라는 말이었다.

뉴욕타임스가 잘못 짚은 것이다. 누가 쐈는지가 더 중요한 상황이고 시점이었다. ‘이스라엘군’을 주어로 내놓아야 했다.

어문부 전문기자 wlee@seoul.co.kr
2020-01-20 2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