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그냥 쉰다’ 209만명 역대최대…20~40대 ‘쉬었음’ 비중 최고

‘그냥 쉰다’ 209만명 역대최대…20~40대 ‘쉬었음’ 비중 최고

김태이 기자
입력 2020-01-19 10:41
업데이트 2020-01-19 14: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5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고용노동부 주최 ‘2019 산업별 일자리 박람회’에서 구직자들이 채용공고를 확인하고 있다.2019. 11. 5.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5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고용노동부 주최 ‘2019 산업별 일자리 박람회’에서 구직자들이 채용공고를 확인하고 있다.2019. 11. 5.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지난해 ‘쉬었음’ 인구가 8년 만에 최대 증가하며 처음으로 200만명을 넘어섰다.

‘쉬었음’ 인구는 일할 능력이 있지만, 병원 치료나 육아, 가사 등 구체적인 이유 없이 막연히 쉬고 싶어서 일하지 않는 사람들이다. 실업자로도 분류되지 않는데 실업 상태로 전락하거나 아예 구직을 포기할 가능성이 크다.

19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비경제활동인구 중 ‘쉬었음’ 인구는 전년보다 23만8천명 늘어난 209만2천명이었다. 관련 통계를 시작한 2003년 이후 처음으로 200만명을 넘었다.

증가율(12.8%)은 2011년(13.3%) 이후 8년 만에 가장 높았다.

특히 증가세가 사회에 첫발을 내딛는 20대를 포함해 전 연령층에서 골고루 높게 나타나는 현상을 보였다.

증가율을 보면 20대(17.3%), 30대(16.4%), 50대(14.0%), 40대(13.6%), 60세 이상(10.3%) 등이었다.

통상 정년퇴직, 은퇴 등으로 경제활동을 마무리하는 경우가 많은 노인층이 ‘쉬었음’ 인구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데 작년에는 60세 미만에서도 증가폭이 컸던 것이다.

지난해 ‘쉬었음’ 인구를 연령대로 보면 15~19세 2만9천명, 20대 33만2천명, 30대 21만3천명, 40대 22만3천명, 50대 42만6천명, 60세 이상 87만명 등이었다.

자유한국당 추경호 의원실이 분석한 결과, ‘쉬었음’ 인구가 해당 연령층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대 5.2%, 30대 2.9%, 40대 2.7% 등이었다.

관련 통계 집계를 시작한 2003년 이래 모두 역대 최대다.

20대는 처음으로 5%를 넘어섰다. 20대의 ‘쉬었음’ 비중은 그간 3%대 후반에서 4%대 초중반에 머물러왔다.

지난해 유일하게 고용률이 하락한 40대의 ‘쉬었음’ 비중은 2016~2018년에 2.2~2.3% 수준이었다.

생산가능인구(15~64세)로 보면 ‘쉬었음’ 인구 비중이 처음으로 4%대(4.4%)로 올라섰다.

한국노동연구원은 ‘노동리뷰’ 최신호에서 “비경제활동인구 가운데 ‘쉬었음’은 그동안 주로 60세 이상 고령층에서 증가해왔으나 지난해 들어서 60세 미만 연령층의 증가폭이 60세 이상 증가폭을 상회하는 모습이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경기 둔화로 남성을 중심으로 주력 연령대의 고용이 좋지 않은 상황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추경호 의원은 “‘쉬었음’ 인구의 급증은 우리 경제의 활력이 급격히 떨어지고 있기 때문”이라며 “국가 주도의 관치경제에서 민간 중심의 시장경제로 정책 방향의 기조를 확실히 바꿔야 고용 상황을 포함한 민생경제가 살아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