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란엔 강경한 폼페이오, 북한엔 “대화에 희망적”

이란엔 강경한 폼페이오, 북한엔 “대화에 희망적”

서유미 기자
서유미 기자
입력 2020-01-08 17:00
업데이트 2020-01-08 18: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국이 이란 군 사령관을 드론 공격으로 폭사시킨 데 대해 이란이 미군 기지에 대해 보복 공격을 감행하며 긴장이 고조되는 가운데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이 북한과의 협상은 여전히 희망적이라고 말해 주목된다.

북한이 지난해 말 노동당 중앙위 전원회의를 열고 핵·미사일 실험 중지 선언 철회 가능성을 시사했으나 실제 강경 기조의 실행에는 나아가지 않도록 저지하려는 목적으로 보인다.

폼페이오 장관은 지난 7일(현지시간) 워싱턴DC 국무부 청사서 가진 브리핑에서 “대선이 있는 해이고 이란과 북한이라는 두 가지 핵 관련 위기에 직면했는데 해결에 낙관적이냐”는 질문에 “북한에 대해서는 우리는 길을 나설 수 있다는 데 여전히 희망적”이라고 했다.
이미지 확대
폼페이오 “北 ICBM 발사 중단 약속 준수 기대”
폼페이오 “北 ICBM 발사 중단 약속 준수 기대”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이 10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국무부 청사에서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과 회담한 뒤 가진 공동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폼페이오 장관은 이 자리에서 북한이 장거리미사일 발사 시험과 핵 실험을 중단하고 비핵화를 하겠다는 약속을 계속 준수할 것이라고 매우 기대한다고 밝혔다. 워싱턴 AP 연합뉴스
이어 지난 연말에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면서 “우리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게 2018년에 했던 비핵화 약속에 어떻게 이를 것인지에 대해 대화할 수 있을 것이라는데 여전히 희망적”이라고 했다.

이란에 대해서는 전 정권과의 차이를 설명했다. 그는 “우리의 전략이 이란이 정상국가로 행동하도록 하는 데 성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고 했다. 가셈 솔레이마니 쿠드스군 사령관에 대한 공습이 이란에 대한 ‘최대 압박’ 전략에 포함되느냐는 질문에는 폼페이오 장관은 “(최대압박 전략에는) 외교적, 경제적, 군사적 요소가 있다”며 그렇다는 취지로 답했다.

특히 ‘솔레이마니 공습 같은 유사한 조치가 최대압박 작정의 특성으로서 이어질 수 있음을 이란이 알아야 한다는 것이냐’는 질문에 “이란이 또다른 나쁜 선택을 할 경우 대통령은 지난주에 한 방식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했다.

또다른 미국 국무부 고위관계자도 7일(현지시간) 기자들과의 비공개 브리핑에서 “2019년은 1년간 북한의 활동과 미사일, 시험, 모든 다른 것들이 매우 감소한 것을 봤다는 점에서 좋은 한 해였다”며 “이것이 계속될 것이라고 믿는다”고 했다.

이란에 대해 최대 압박의 강경 정책을 이어가는 미국이 북한에 대해선 협상 가능성을 강조한 것이다. 미국이 이란과 북한 양쪽 동시에 긴장 수준을 높이고 싶지 않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신범철 아산정책연구원 안보통일센터장은 “미국은 북한이 레드라인을 넘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도발을 감행하기 하기 전까지는 이란과는 달리 북한과의 대화 기조를 이어가려고 할 것”이라고 했다.

박원곤 한동대 교수는 “이란과 갈등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북한 마저도 금지선을 넘는다면 미국이 감당할 만한 상황이 아닐 것”이라며 “미국 입장에선 북한과의 대화 기조 유지가 더 중요해 졌다”고 했다.

그러나 2015년 이란과 핵 합의를 도출했던 미국이 솔레이마니 사령관을 제거한 것을 본 북한이 체제 안정을 위해 핵 무기의 필요성을 느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이란과 북한에 대한 상반된 전략이 미국이 핵 억제력이 없는 국가를 공격한다는 북한의 인식만 확고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날 CNN에 따르면 미국 과학자 연맹의 아담 마운트 선임 연구원은 “미국의 테러지원국 명단에서 북한은 이란 옆에 적혀 있다”며 “솔레이마니의 죽음으로 핵 억제력을 키우려는 북한의 의지가 더욱 강해질 것”이라고 했다.

서유미 기자 seoym@seoul.co.kr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