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경우의 언파만파] 우리는 객관적으로 말할 수 있는가

[이경우의 언파만파] 우리는 객관적으로 말할 수 있는가

이경우 기자
입력 2020-01-05 22:24
업데이트 2020-01-06 00: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영화 ‘라쇼몽’은 “그래서 범인은 누군데?”에 대한 답을 안 한다. 애초부터 그럴 의도가 없었다. 단순한 이야기 속에 무거운 화두를 던진다.

‘우리는 객관적으로 말하는가, 말할 수 있는가.’ 이런 물음이 영화 전체에 주제처럼 흐른다. 범인이 누군지에 눈을 돌리면 혼란스러워진다. 각각의 인물이 하는 말에 틈이 없는지를 보는 게 중요하다.

사람이 죽었다. 범인으로 의심받는 한 사내가 잡혀 온다. 이름은 다조마루. 근처에서 악명을 떨치던 산적이었다. 그는 자신이 사무라이를 죽였다고 시인한다. 그런데 진실만을 말한다며 당당하다. “나는 사무라이를 밧줄로 묶었고, 그의 아내는 내 말을 따랐다. 한데 그녀가 ‘두 남자를 둘 수는 없다. 한 명은 죽어야 한다’고 했다. 나는 정정당당해지고 싶어서 사무라이에게 칼을 주었다. 치열한 결투가 벌어졌고, 내 칼에 그가 찔렸다.” ‘살해’라기보다는 정당한 결투에 따른 결과라는 것이다.

사무라이의 아내는 다른 증언을 한다. “산적이 나를 범하자 남편은 나를 경멸하는 눈으로 바라보았다. 모욕적이었다. 견딜 수가 없었다. 남편에게 단도를 주며 ‘죽여 달라’고 울부짖다가 기절해 버렸다. 깨어나 보니 남편이 죽어 있었다.” 아내는 자신이 정숙한 모습을 지키려 했다는 데 초점을 맞춰 사건에 대해 말했다.

사무라이가 무당의 몸을 빌려 나타난다. “아내는 산적에게 나를 죽이고 같이 달아나자고 했다. 산적은 아내의 말을 듣지 않았고, 나를 풀어 주었다. 그사이 아내는 도망을 갔다. 나는 수치스러워서 아내의 단도를 내 가슴에 꽂았다.” 사무라이는 죽었으나, 명예는 지키고 싶은 듯했다.

이 사건을 지켜보던 나무꾼이 말한다. “여자는 두 남자에게 결투를 하라고 했다. 그렇지만 두 남자는 마뜩지 않았는지 멈칫거리고 있었다. 그러자 여자는 둘 다 남자답지 못하다며 비웃었다. 두 남자가 서로 겁에 질린 모습으로 싸웠다. 산적의 칼이 남편의 가슴을 찔렀다.” 한데 나무꾼은 뒤늦게 자신이 여자의 단도를 몰래 가져갔다고 밝힌다. 관찰자로 보였던 그도 이해관계가 있었다.

영화에선 누구도 그들에게 묻지 않는다. 그들은 자신이 하고 싶은 말을 맘껏 내놓는다. 그들이 한 말에 대한 판단은 온전히 관객의 몫이 된다. 영화는 말한다. 인간은 객관적으로 말하기 어렵다. 털끝만 한 이해관계가 있어도 우리는 거기에 얽매인다. 그 순간 사물이나 사건은 각기 다른 언어로 나타난다. 인간 세계는 얽혀 있다. 우리는 얼마나 어떻게 객관적으로 말할 수 있을까.
2020-01-06 27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