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2020 신춘문예 평론 당선작-심사평] 강성은 시와 영화 ‘링’오버랩… 모호한 매력을 선명하게 해석

[2020 신춘문예 평론 당선작-심사평] 강성은 시와 영화 ‘링’오버랩… 모호한 매력을 선명하게 해석

입력 2020-01-01 18:12
업데이트 2020-01-02 01: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유성호·조연정

이미지 확대
심사위원 유성호(왼쪽)·조연정(오른쪽) 문학평론가. 오장환 기자 5zzang@seoul.co.kr
심사위원 유성호(왼쪽)·조연정(오른쪽) 문학평론가.
오장환 기자 5zzang@seoul.co.kr
최근 한국 문학 비평의 새로운 열기를 반영한 듯 올해 신춘문예 평론 부문 심사에서는 양적으로나 질적으로나 만족할 만한 수준의 응모작들을 만날 수 있었다. 심사위원이 공통적으로 주목한 세 편의 글은 ‘일기에의 의지-문보영론’, ‘잘 먹고 오래 걷고 많이 생각하는 이야기-박솔뫼론’, ‘악몽을 거쳐야 태어나는 것들-강성은의 시’이다.

문보영론은 ‘일기병 공유단’이라는 색다른 키워드를 통해, 최근 작가-텍스트-독자 사이의 소통이 쌍방향적인 것으로 변화하고 있는 현상, 더불어 ‘문학적인 것’의 범위 역시 확장되고 있는 현상을 흥미롭게 제시하고 있다. 박솔뫼론은 최근 비평장에서 주요한 화두가 되고 있는 ‘1인칭 화자’의 문제를 충분히 숙고하면서 박솔뫼 소설의 주체를 ‘당사자로서의 1인칭 관찰자’로 적절하게 명명하고 있는 점을 높이 평가했다. 군더더기 없이 가독성 있는 문장들에도 호감이 갔다. 다른 응모작들에 비해 이 두 편의 글은 무엇보다도 최신의 한국 문학의 흐름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했다.

당선작으로 선정된 것은 강성은론이다. 강성은의 전작을 분석 대상으로 삼는 이 글은 강성은의 시와 영화 ‘링’을 매끄럽게 겹쳐 읽는다. “악몽을 이해하기 위해 또 다른 ‘악몽’을 나란히 세워보는” 이 글의 전략을 통해 강성은 시의 모호한 매력이 선명하게 해석된다는 판단이 들었다. 강성은의 여성 주체를 “구조적 폭력의 희생자”이기보다 “세계 전체에 대한 부정항”으로 명명하는 이 글의 결말이 좀 더 설득력 있게 해명될 필요가 있다고 느껴지기는 했다. 그러나 시인의 전작을 대상으로 매끄러운 논리의 틀을 만들어낸 시도 자체, 그리고 그것을 효과적으로 구현해낸 정확한 문장들이 이 글의 큰 미덕이라고 봤다. 당선을 진심으로 축하드린다.



2020-01-02 50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