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히로시마 원자폭탄에도 살아남은 두 건물 2022년 철거-보존 놓고 논란

히로시마 원자폭탄에도 살아남은 두 건물 2022년 철거-보존 놓고 논란

임병선 기자
입력 2019-12-16 17:42
업데이트 2019-12-16 18: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구글 스트리트 뷰로 구경할 수 있는 일본 히로시마의 문제 건물. 1913년 지어져 1945년 피폭을 거쳐 지금까지 온전히 그 모습을 유지하고 있지만 강진이 덮쳤을 때 안전하지 않다는 이유로 2022년까지 철거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구글 스트리트 뷰 제공 영국 BBC 홈페이지 캡처
구글 스트리트 뷰로 구경할 수 있는 일본 히로시마의 문제 건물. 1913년 지어져 1945년 피폭을 거쳐 지금까지 온전히 그 모습을 유지하고 있지만 강진이 덮쳤을 때 안전하지 않다는 이유로 2022년까지 철거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구글 스트리트 뷰 제공
영국 BBC 홈페이지 캡처
1945년 피폭 당시 일본 히로시마 시가지 모습. 수천 채의 건물이 파괴돼 거의 ‘그라운드 제로’가 됐다. AFP 자료사진
1945년 피폭 당시 일본 히로시마 시가지 모습. 수천 채의 건물이 파괴돼 거의 ‘그라운드 제로’가 됐다.
AFP 자료사진
1945년 일본 히로시마에 원자폭탄이 떨어진 뒤에도 멀쩡히 뼈대를 지킨 히로시마의 두 건물을 철거하는 방안을 놓고 많은 논란이 벌어지고 있다고 영국 BBC가 16일 전했다.

1913년에 지어진 두 건물은 군수 의복 공장으로 쓰이다 나중에 대학 기숙사 건물로 쓰였는데 원자폭탄이 떨어진 뒤에는 임시 야전병원으로 이용된 역사를 갖고 있다. 폭탄이 떨어지자 히로시마 주민 8만명이 몰살됐으며 3만 5000명 가량이 부상했다. 폭탄이 떨어진 ‘그라운드 제로’ 주위 5㎞ 안에 온전히 남은 건물은 85채에 불과했는데 그 중 들어간 건물들이다.

두 건물이 멀쩡히 형태를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붉은 벽돌로 바깥 벽을 쌓았지만 안은 강화 콘크리트로 만들어졌기 때문이었다. 당시 철제 유리창문과 문들이 폭탄에 일부 손상된 모습을 지금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히로시마시 당국은 이 건물이 구조적으로 취약해 강진이 덮치면 붕괴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이유를 들어 2022년까지는 철거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현재는 공공 소유로 돼 있는 이 건물은 전혀 사용되지 않고 있으며 그렇다고 대중에게 늘 열려 있지도 않다. 다만 지방정부의 허가를 받고 방문할 수는 있다.

같은 단지의 세 번째 건물은 앞으로도 보존해 벽과 지붕만 지진에 대비해 강도를 높일 계획이다.

피폭 생존자인 나카니시 이와오(89)는 피폭 당시 이 건물 안에 살고 있었는데 지금은 이 건물들의 보존을 주창하는 시민단체 대표를 맡고 있다. 그는 마이니치 신문 인터뷰를 통해 “미래 세대의 비극을 일러준다는 역사적 중요성을 고려할 때 우리는 철거란 개념을 결코 받아들일 수 없다”면서 “우리는 강하게 반대한다”고 말했다. 나카니시는 이 건물들이 “핵무기 폐기를 위한” 교육의 장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곳을 한 번 찾은 적이 있다는 69세 주민은 “우리에게 원자폭탄의 끔찍함을 말해주는 가치있는 건물들”이라면서 “처음 직접 이곳을 돌아보고 난 뒤 이 모든 것들이 보존됐으면 좋겠다는 강한 느낌을 갖게 됐다”고 털어놓았다.

히로시마의 가장 유명한 피폭 상흔은 평화 추모 공원 안의 겐바쿠 돔이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이 돔은 내진 설계를 더욱 강화하는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일본은 나치 독일의 항복 선언에도 몇개월을 버티다 히로시마 피폭을 자초했다. 일본에 떨어진 두 개의 원폭 가운데 먼저 8월 6일 이 도시에 떨어진 폭탄은 장기 피폭자들까지 계산에 넣으면 대략 14만명 정도의 목숨을 앗아간 것으로 추정된다. 원자폭탄은 그보다 훨씬 전에 개발됐지만 전쟁 중에 실제로 사용된 것은 히로시마가 최초였다. 하지만 일본이 즉각 항복하지 않자 미국은 더 이상의 인명 피해를 막는다는 명분을 내세워 사흘 뒤 나카사키에도 원폭을 투하했다. 그로부터 엿새 뒤 일본은 공식 항복해 2차 세계대전은 공식 종결됐고, 한국은 벼락같이 광복을 맞았다.

임병선 기자 bsn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