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나태주 시인 “나는 연애편지 들고 가는 서비스맨”

나태주 시인 “나는 연애편지 들고 가는 서비스맨”

입력 2019-12-12 15:20
업데이트 2019-12-12 15: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등단 50주년 시집 ‘너와 함께라면 인생도 여행이다’ 출간

이미지 확대
나태주 시인이 12일 오전 서울 종로구의 한 식당에서 열린 신간 ‘너와 함께라면 인생도 여행이다’ 출간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질문에 답하고 있다. 2019.12.12 연합뉴스
나태주 시인이 12일 오전 서울 종로구의 한 식당에서 열린 신간 ‘너와 함께라면 인생도 여행이다’ 출간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질문에 답하고 있다. 2019.12.12 연합뉴스
 ‘힘들고 지치고 고달픈 날들/너도 부디 나와 함께/인생은 ‘고행’이 아니라 ‘여행’이라고 생각해주면 좋겠구나.’(‘너와 함께라면 인생도 여행이다’ 중)

 시 ‘풀꽃’으로 유명한 나태주(사진·75) 시인 인생에 더없이 어울리는 구절이 아닐까. 나 시인이 등단 50주년을 맞아 마흔두 번째 시집 ‘너와 함께라면 인생도 여행이다’(열림원)로 독자를 찾는다. 12일 서울 광화문 한 식당에서 출간간담회를 연 그는 “지난 50년은 여러분을 바라본 나의 기적이고, 나와 함께 한 여러분의 기적”이라고 소감을 밝혔다.

 나 시인은 1945년 충남 서천에서 태어나 공주사범학교를 졸업한 뒤 1971년 서울신문 신춘문예로 등단했다. 1964년부터 2007년까지 43년 동안 초등학교 교단에서 일하며 시인으로 활동했다. 아이들을 보고 쓴 ‘풀꽃’ 시로 유명해져 ‘풀꽃 시인’이라는 애칭을 얻었다.

 ‘자세히 보아야/예쁘다.//오래 보아야/사랑스럽다.//너도 그렇다.’(풀꽃1)

 그는 지난 50년간 쓴 시를 가리켜 “연애편지”라고 했다.

 “좋아하는 여자에게 잘 보이려고 16살부터 시를 썼어요. 한 여자를 향했던 연애편지가 온 세상으로 대상이 바뀌었고, 저는 그렇게 시인이 됐지요.”

 지난 2007년 급성 췌장염으로 사경을 헤매기도 했다. 인생이 달라졌다. “그 일 이후 하늘의 구름만 봐도 행복했다. 구름이 먼저 말을 걸더라”고 웃었다.

 시인이 무엇이냐는 질문에는 “서비스맨”이라고 답했다. 연애편지를 들고 전국 어디든 부르면 찾아간다. 일흔다섯이지만, 1년에 200회나 강연을 다닌다.

 “주제, 대상, 장소 묻지 않고 와달라면 갑니다. 엊그제 고흥 쪽 중학교에 갔는데, 애들이 그래요. ‘힘들고 어렵다’고. 옆에 앉혀놓고 이야기 듣고, ‘조금 기다려보자, 늦어도 괜찮으니 같이 가자’ 이렇게 말해줬어요. 저야 일흔다섯이고 속된 말로 ‘용도폐기’ 다 된 인간이지만, 이게 바로 내가 여태 남아 있는 존재 이유라 생각합니다. 시인들도 너무 경직되면 안 돼요. 문지기 세워두고 빗장 걸어두고 그러면 안 됩니다. 그래서 시인들에게도 말하곤 합니다. 될 수 있는 대로 사람들 많이 만나고 이야기도 들어주고 안아주고 그러자고.”

 여행 같은 인생, 여전히 할 일이 많다. 밤낮으로 연애편지를 계속 쓰는 이유다.

 “걸어가다가, 플랫폼에서, 기차 안에서 휴대전화에다 시를 써서 넣어요. 저 어렸을 때야 농경사회였지만, 이제 유목민처럼 살고 있잖아요. 이걸 받아들여야 하지 않나 싶어요. 그래서 저 스스로 ‘노마드 시인’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번 시집에는 ‘너와 함께하면 인생도 여행이다’를 비롯한 신작 시 100편, ‘풀꽃’과 같은 독자가 사랑한 대표 시 49편, 그리고 나 시인이 꼽은 시 65편이 담겼다. 시인의 인생을 요약하는 꼭 하나의 시를 꼽아달라는 부탁에 65편 가운데 주저 없이 ‘묘비명’을 들었다.

 ‘많이 보고 싶겠지만/조금만 참자.’(묘비명)

 “우리 아들, 딸 보라고 쓴 시에요. 나 죽으면 내 묘를 찾아올 텐데, 아무래도 보고 싶어 찾아왔을 거 아녜요. 그런데 ‘조금만 참자’는 구절이 써 있죠. 어차피 죽으면 다시 만날 테니 조금 천천히 오라고 하고 싶어요. ‘그러니까 너희들, 열심히 살아’라는 뜻이랄까.”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