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범고래 할머니도 자손이 번창하면 자랑스러워 한다, 폐경 지날수록 더”

“범고래 할머니도 자손이 번창하면 자랑스러워 한다, 폐경 지날수록 더”

임병선 기자
입력 2019-12-10 10:32
업데이트 2019-12-10 10: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고래연구센터 케네스 발콤 제공 영국 BBC 홈페이지 캡처
고래연구센터 케네스 발콤 제공
영국 BBC 홈페이지 캡처
범고래 할머니도 자손이 번창하면 자랑스럽게 여긴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동물들 가운데 이런 경험을 하는 종은 다섯 종 밖에 없다고 영국 BBC는 9일(현지시간) 단언했다. 범고래, 들쇠고래(short-finned pilot whale), 벨루가 돌고래, 외뿔고래(narwhal), 그리고 인간이다.

미국 뉴욕 대학의 댄 프랭크스 교수가 대표 저자로 미국 자연과학아카데미에 제출한 논문에 따르면 할머니 범고래가 폐경을 이미 경험한 가족일수록 후손들의 생존률이 높아진다고 했다. 이른바 ‘할머니 효과’ 덕이다. 연구진은 36년 동안 미국과 캐나다의 북태평양 연안에 사는 두 범고래 집단을 36년 동안 추적 관찰한 자료들을 분석해 이런 결론을 내렸다. 각 집단은 서로 다른 가족들로 구성돼 있었다.

폐경기를 지난 암컷이 생식 능력을 잃었는데도 수컷보다 오래 살아남는 이유의 일단이기도 하다. 인간처럼 범고래 역시 자녀들과 손주 돌보며 행복한 감정에 휩싸이는데 이것이 자녀와 손주들의 생존률도 높여준다는 것이다.

프랭크스 교수는 “만약 할머니가 세상을 떠나면 몇년 안에 손주들이 따라 죽을 확률이 높아진다”면서 “특히나 폐경을 한참 지난 할머니가 세상을 등졌을 때 훨씬 이런 효과가 두드러진다”고 말했다. 이어 “생식 기능을 잃은 뒤에도 여성이 오래 사는 이점을 설명할 수 있다. 진화론적 관점에서도 할머니들은 여전히 유전체를 옮길 수 있고, 후손들을 돌보면서 유전적 유산을 남길 수 있다고 말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다르게 설명하자면 생식 기능이 중단됨으로써 할머니 고래들은 생식이 가능할 때보다 유전체를 물려주는 일에 더 실질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이 할머니들은 먹잇감을 사냥할 때 가족을 이끄는데 폭넓은 지식을 활용해 맨앞에서 먹잇감을 찾는 역할을 한다.

폐경을 했다는 것은 무리를 이끄는 데 더 나은 밑천이 되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연어의 숫자가 줄어들 때 할머니들의 역할은 더욱 막중해진다. 할머니 고래들이 자식과 손주에게 먹잇감을 양보하는 모습이 직접 목격되기도 한다. 또 인간처럼 어미가 물고기를 잡으려고 물속에 들어가면 할머니가 손주들 곁에 머무르며 돌보곤 한다.

할머니 범고래가 무리를 이끄는 리더십을 발휘하는 다른 이유 하나는 폐경을 경험한 뒤 경쟁심이 엷어지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딸들과 함께 생식 능력이 있을 때는 여러 면에서 경쟁하게 되는데 생식 능력을 잃으면 이런 스트레스를 받지 않는다는 것이다.

프랭크스 교수는 앞으로 드론 카메라를 이용해 범고래들이 다른 가족끼리 어떻게 의사를 소통하며 생존 능력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는지 들여다볼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임병선 기자 bsn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