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공감과 반감 사이… 2030 “성대결보다 구조적 성차별 풀어야”

공감과 반감 사이… 2030 “성대결보다 구조적 성차별 풀어야”

김지예 기자
김지예 기자
입력 2019-11-12 22:26
업데이트 2019-11-13 01: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청춘남녀가 본 ‘82년생 김지영’

“여성 현실 보여줘” “92년생 김지훈 제작”
반복관람·평점테러 속 관객 320만명 돌파

여성들 “카페 맘충 등 모든 장면 와닿아”
“경력단절 김지영, 내 옆 동료” 남성도 공감
“희생만 강조·성차별 보편화 불편” 반응도
이미지 확대
동명의 베스트셀러 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 ‘82년생 김지영’이 12일 기준 322만명의 관객을 동원했다. 개봉 후 3주간 꾸준한 흥행이다. 동시에 영화를 둘러싼 논쟁도 계속된다. “김지영이 여성의 삶을 현실적으로 보여 준다”는 공감과 “여자만 힘드냐”, “‘92년생 김지훈’도 만들어야 한다”는 반발이 맞선다. 포털 사이트와 각종 인터넷 커뮤니티에는 영화에 일부러 낮은 점수를 주는 ‘평점 테러’와 영화를 지지하는 의미로 여러 차례 관람하는 ‘N차 관람’ 후기가 교차하고 있다.

온라인에서 극단적으로 진행되는 논쟁을 넘어 2030세대의 생각을 들어보기 위해 서울신문은 거리 등에서 남녀 20명을 무작위로 만나 작품에 대한 의견을 물었다. 온라인상의 공격적 발언들과 달리 김지영에게 공감한다는 남성들이 적지 않았다. 박성현(26)씨는 “여성들이 아무래도 육아에 더 신경을 쓰게 되는데, 직장 생활을 하는 남성 입장에서도 공감이 됐다. 경력이 단절된 김지영은 옆자리 동료의 이야기”라고 했다. 박건우(22)씨는 “김지영의 말을 아무도 들어 주지 않는 상황이 너무 답답하고 감정이입이 됐다”며 “내 주변의 여성들이 일상 속에서 겪는 차별이 무엇인지 느끼게 됐다”고 말했다. 강모(27)씨는 “여자친구에게 먼저 보러 가자고 하고 어머니도 보여드렸다. 육아와 일을 병행하는 여성의 어려움을 보며 남자로서 부끄러웠다”고 했다. CJ CGV에 따르면 개봉 첫 주말부터 전체 예매 관객 중 남성이 26% 수준을 꾸준히 유지했다. 연령별로는 20대가 38.2%, 30대가 30.9%였다.

여성들은 “거의 모든 장면이 와닿았다”고 했다. ‘공감’, ‘평범’, ‘입장’이라는 단어를 남성보다 많이 언급했다. 김단(28)씨는 “카페에서 ‘맘충’ 소리를 듣는 장면에 특히 공감했다. 평범한 인물의 이야기로 현실을 보여 주는 ‘순한 맛’의 영화”라고 설명했다. 김모(30)씨는 “내가 아니더라도 누군가는 겪었을, 또 다른 여성의 삶을 알게 돼 의미가 있었다”고 했다.

반면 ‘82년생 김지영’에 대해 불편함을 느낀다는 반응도 있었다. 여성이 차별의 유일한 피해자처럼 그려지고, 남성을 가해자처럼 보는 게 부당하다는 것이다. 정모(25)씨는 “우리 세대는 취업난과 같은 나름의 아픔이 있다. 여성·남성 사이의 갈등보다 우리 세대의 어려움이 큰 것 같다”고 말했다. 이지헌(27)씨는 “어머니 세대에서도 차별받은 사람과 받지 않은 사람이 있고, 우리 세대에도 차별받은 사람이 있다. 이것을 모두 성차별이라고 보편화하는 것은 이해가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서모(28)씨는 “예전보다 점점 좋게 바뀌고 있는데 누구의 희생이 더 큰지 왈가왈부할 필요가 있는지 의문”이라고 했다.

성차별의 구조적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의견은 공통적이었다. 김준기(31)씨는 “김지영과 남편 정대현이 힘겹게 살아가면서도 서로를 옭아매는 상황이 너무 안타까웠다. 두 사람이 겪는 문제는 그들의 힘만으로 해결할 수 없는 구조적 문제”라고 했다. 강모(25)씨는 “현실이 팍팍하다 보니 일부에서는 영화에 반감을 가질 수 있지만, 작품에 대해 무작정 테러하는 것은 공감할 수 없다”며 “성대결보다는 성차별의 구조적인 문제를 같이 보면서 서로 이해하고 푸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김지예 기자 jiye@seoul.co.kr
2019-11-13 2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