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서울대 식당·카페 노동자 “저임금·노동환경 개선” 촉구하며 파업

서울대 식당·카페 노동자 “저임금·노동환경 개선” 촉구하며 파업

오세진 기자
입력 2019-09-19 20:33
업데이트 2019-09-19 20: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대 학생모임, 생협 노동자들에 지지 성명

사진은 서울대 생활협동조합 노동자들이 이용하는 휴게공간. 냉방시설도 없고 규모가 3평도 되지 않는 이 휴게실을 8명의 노동자가 사용해야 한다. ‘비정규직 없는 서울대 만들기 공동행동’ 페이스북 화면 캡처
사진은 서울대 생활협동조합 노동자들이 이용하는 휴게공간. 냉방시설도 없고 규모가 3평도 되지 않는 이 휴게실을 8명의 노동자가 사용해야 한다. ‘비정규직 없는 서울대 만들기 공동행동’ 페이스북 화면 캡처
서울대 식당과 카페에서 일하는 생활협동조합(생협) 노동자들이 저임금과 열악한 노동환경 문제 해결을 촉구하며 19일 파업을 했다. 이날 파업은 생협 노동자들이 노동조합을 설립한 직후인 1989년 이후 30년 만에 처음이다.

서울대 학생모임인 ‘비정규직 없는 서울대 만들기 공동행동’(공동행동)에 따르면 현재 생협 노동자들의 초봉은 171만 5000원으로, 주말 근무을 해서 시간외수당 등을 받아야 최저임금을 넘길 수 있는 정도로 저임금에 시달리고 있다. 10년을 일한 10호봉 기본급도 200만원에 불과하다고 한다.

노동 강도가 과도하게 높다는 점도 문제다. 서울대 학생회관 식당 한 곳에서만 약 30명의 노동자가 하루 동안 약 6000명분의 식사를 준비한다고 한다. 공동행동은 “(생협 노동자들은) 여름이면 땀띠가 온몸을 뒤덮고 무릎, 팔꿈치, 팔목은 성할 날이 없다”면서 “대부분의 생협 노동자들이 자기 돈을 들여 진통제 주사를 맞아가며 일을 한다”고 전했다.

생협 노동자들의 휴게 공간도 열악하다. 냉방시설도 없고 3평도 안 되는 휴게실을 8명이 써야 해서 여름에는 점심 배식 후 식당 바닥에 돗자리를 깔고 쉬어야 하는 실정이다. 또 여성 노동자들을 위한 샤워장이 없어 여성 노동자들은 주방에 간이 커튼을 달아 땀을 씻고, 일부는 남성 노동자들의 샤워장을 숨어서 이용한다는 것이 공동행동의 설명이다.

생협 노동자들은 △기본급 3% 인상 △명절휴가비 지급 △호봉체계 개선 △휴게시설 및 근무환경 개선 등을 요구했다. 하지만 생협은 노동자들의 요구를 거부했고, 대학본부는 생협은 별도 법인이라며 사태를 방관하고 있다고 공동행동은 지적했다.

공동행동은 “생협은 현재 매해 수억원의 기부금과 임대료를 학교에 내고 있다. 생협은 학교 구성원의 후생복지를 위해 설립된 법인이기 때문에 이윤을 남기지 않고 이익금을 모두 서울대에 기부하고 있다”면서 “몇 년 새 몇십억원에 달하는 돈이 생협에서 서울대로 넘어갔다. 이를 활용하면 노동자들의 처우 개선은 충분히 가능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결국 생협 노동자들의 처우를 개선할 의지가 없는 생협 경영진과 대학본부가 노동자들을 파업으로 내몰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라고 비판했다.

생협 노동자들이 속한 민주노총 전국대학노조 서울대지부도 이날 서울대 행정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학교의 불성실한 단체교섭 태도와 부당한 처우, 개선 의지 부족이 (생협 노동자들의) 파업 원인”이라면서 “오늘 하루 파업을 하지만 사용자 측이 양보안을 내놓지 않으면 다시 파업에 돌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공동행동은 성명을 통해 “생협 노동자들은 학생들의 식사가 걱정된다며 식사 대안이 부족한 (서울대)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당에 대해 파업 제외를 결정하기도 했다”면서 “이제는 우리가 답해야 할 차례다. 우리는 당장의 불편함을 약자의 몫으로 떠넘기는 것이 아니라, 무시로 일관해도 문제없는 권력에 맞서 노동자들의 곁에 서겠다”면서 생협 노동자들과 연대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오세진 기자 5sjin@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